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국보 제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함께 국내에서는 가장 큰 금동반가사유상이다. 1920년대에 경주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하나 근거가 없으며,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의 관(冠)을 쓰고 있어..
보문사 석실(普門寺 石室)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7호 보문사 석실(普門寺 石室)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7호 신라 선덕여왕 4년(635)에 회정대사(懷正大師)가 처음 건립하고 조선 순조 12년(1812)에 다시 고쳐 지은 석굴사원이다. 천연동굴을 이용하여 입구에 3개의 무지개 모양을 한 ..
관음사 미륵대불(觀音寺 彌勒大佛) 미륵불(彌勒佛)은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열반(涅槃)에 든 뒤 56억 7천만년이 지나면 이 사바세계에 출현하여 모든 중생을 교화하는 부처님이다. 미륵불의 세계인 용화세계에 태어나기 위해서는 지혜와 계행을 닦아 공덕을 쌓거나, 절을 세워 설법하..
참 좋은 절, 삼성산(三聖山) 염불사(念佛寺), 염불암(念佛庵) 염불사는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龍珠寺)의 말사로 사찰이 위치한 삼성산(三聖山)은 두가지 유래가 전하다. 그 중 하나는 원효(元曉), 의상(義湘), 윤필거사(尹弼居士) 세분이 이 산에 들어와 원효대사는 삼..
구룡사 응진전(龜龍寺 應眞殿) 석가모니 부처님을 본존(本尊)으로 모시면서도 그 제자(弟子)들에 대한 신앙세계(信仰世界)를 함께 묘사한 사찰(寺刹)의 당우(堂宇)를 말한다. 나한 중에서도 16나한을 모시는 건물로 나한신앙을 배경으로 조성된 것이다. 대개 응진전 내부에는 석가모니를 ..
금산사 적멸보궁(金山寺 寂滅寶宮) 이 법당(法堂)은 방등계단(方等戒壇)에 참배(參拜)하기 위하여 특별히 건립된 방등계단 예배전(禮拜殿)이다. 원래 나한전(羅漢殿)으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제화가라보살(提和竭羅菩薩), 미륵보살(彌勒菩薩), 그리고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제자(..
등명낙가사 영산전 (燈明洛伽寺 靈山殿) 대한불교 조계종 등명낙가사의 금당인 영산전(靈山殿)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이 곳에 오백나한을 모신 영산전을 건립하게 된 것은 신라시대 이래 강원도 땅에 전승되어 오던 설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문수 보살과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