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대왕능행차(노량진 배다리행사 재현)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장조)가 뒤주 속에서 세상을 떠난 후 1776년 25세에 왕위에 올랐다. 정조는 24년의 재위기간 동안 사도세자의 묘소를 양주 배봉산에서 지금의 화성 융릉인 현륭원으로 옮긴 후 아버지를 참배하..
공산성 공산정(公山城 公山亭) 공산성 서북쪽 산마루에 있는 누각이다. 이곳에서는 유유히 흐르는 금강과 금강교(등록문화재 제232호)등 공주의 전경을 한눈에 전망할 수 있다. 특히 이곳에서 볼 수 있는 금강의 낙조(落照)와 야경(夜景)은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다. 누각의 명칭은..
강릉 선교장(江陵 船橋莊) "활래정(活來亭)" 선교장(船橋莊) 정원의 인공 연못 가운데에 세워진 누각형식의 정자이며, 선교장(船橋莊)은 경포호수(鏡浦湖水)가 현재와 같지 않고 그 둘레가 12km였을 때 배(船)를 타고 건너 다녔다고 하여 배다리(船橋)라는 택호를 가지고 있다. 선교장은 17세..
세미원의 배다리, 열수주교(洌水舟橋) 경기도 양평의 연꽃 공원인 세미원(洗美苑)과 두물머리(兩水里, 양수리)를 연결한 이 배다리(舟橋)는 열수주교(洌水舟橋)라고 하여 정조임금의 효와 다산 정약용 선생의 지혜를 기리는 배다리이다. 배다리의 역사를 살펴보면 1789년 정조께서 한강에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