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종박물관(鎭川 鐘博物館) 진천 종박물관은 한국 종의 연구, 수집, 전시, 보존은 물론 기획전시, 교육 및 다양한 활동 등을 통해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은 한국 종의 예술적 가치와 우수성을 알리고자 2005년 9월 개관되었다. 제1전시실은 범종의 역사, 한국의 범종, 통일신라신대 ..
종소리를 잘나게 하는 용뉴(龍鈕) 용뉴(龍鈕)는 범종(梵鐘)의 가장 위쪽에 있는 용의 모습을 한 고리로 이곳에 쇠줄을 달아 종을 매달게 된다. 용뉴의 용은 고래를 무서워 한다는 가상의 동물인 포뢰(葡牢)를 상징한다. 포뢰는 그 용의 이름이다. 포뢰라는 용은 용왕의 아홉 아들 중에서 셋..
봉정사 만세루(鳳停寺 萬歲樓)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5호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 중 하나인 봉정사(鳳停寺)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天燈山, 575.5m)은 원래 대망산(大望山)이라 불렀는데 능..
용주사(龍珠寺) 범종(梵鐘) - 국보 제120호 범종각 주련 聞鐘聲煩惱斷(문종성번뇌단) 종소리를 듣고 번뇌를 끊으며 智慧長菩提生(지혜장보리생) 지혜가 증장하고 보리심이 생긴다. 용주사(龍珠寺) 범종(梵鐘) - 국보 제120호 이 종은 통일신라 (統一新羅) 말기(末期 ) 범종( 梵鐘 )으로서 우리..
선운사 범종(禪雲寺 梵鐘) 이 범종은 조선 순조 18년(1818)에 다시 주조한 것으로, 다른 종과는 달리 종을 매다는 부분에 음통 대신 작은 구멍을 뚫어 놓은 점이 특이하다. 종의 몸체는 3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윗 부분의 연꽃무늬로 채워진 유곽 안에는 꽃으로 장식된 9개의 꼭지가 있으며, 유..
봉녕사 범종루(奉寧寺 梵鐘樓)15평 규모의 목조건물인 범종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98년 9월에 완공하였다.장대석으로 단층기단을 쌓고 난간을 둘렀으며, 내부에는 불전사물을 모두 봉안하였다.범종은 주종기에 의하면 2002년에 조성되었으며, 나머지 사물들 또한 그 ..
구룡사 범종각(龜龍寺 梵鐘閣) 범종각(梵鐘閣)에는 절에서 사용하는 4가지 중요한 불구인 사물(四物) 즉 범종(梵鐘), 법고(法鼓), 목어(木漁), 운판(雲板)을 보관하고 있는 공간으로 보통 네 가지를 함께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사찰에서는 범종을 따로 두는 경우도 있다. 범종각(梵鐘..
직지사 범종각(直指寺 泛鐘閣) 범종각에는 절에서 사용하는 기본되는 4가지 중요한 불구인 사물 즉 범종, 법고, 목어, 운판을 보관하고 있는 공간으로 보통 네 가지를 함께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사찰에서는 범종을 따로 두는 경우도 있다. 직지사 범종각 현판은 “범어 범(梵)”자..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