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 한가운데에 위치한 전통사찰, 조계사(曹溪寺) 조계사 일주문(曹溪寺 一柱門) 일주문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통상적으로는 일주삼간(一柱三間)이라 하여 일렬로 세 개의 문을 갖는다. 이렇게 한 줄로 늘어놓은 이유는 일심(一心)을 상징하고자 했기 때..
봉녕사 범종루(奉寧寺 梵鐘樓)15평 규모의 목조건물인 범종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98년 9월에 완공하였다.장대석으로 단층기단을 쌓고 난간을 둘렀으며, 내부에는 불전사물을 모두 봉안하였다.범종은 주종기에 의하면 2002년에 조성되었으며, 나머지 사물들 또한 그 ..
마곡사(麻谷寺) 범종루(梵鐘樓) 마곡사의 범종루는 1996년에 건립한 ‘아(亞)자’형 또는 '十자'형 평면의 건물로 조선후기 건축 양식이다. 누각에는 사방에 석조 난간을 돌렸고 원형초석을 놓은 위에 기둥을 세워 목조 건물을 올렸다. 지붕형태의 변화, 3출목 공포, 길게 뻗은 살미, 기둥과 ..
불교의 사물(四物)을 걸어놓은 누각 ....범종루(梵鐘樓) 범종루(梵鐘樓)는 다른 말로 종각(鐘閣), 범종각(梵鐘閣), 종루(鐘樓)라고도 하는데, 범종과 법고, 목어, 운판 등 불교의 4물(四物)을 걸어놓는 누각을 말한다. 이러한 사물은 예불의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였다. 범종은 특별히 지옥..
사찰에서 꼭 있어야 하는것은??... 오세암 범종루(梵鐘樓) 사중사물(寺中四物),불전사물(佛殿四物),법전사물(法殿四物) 사찰에서 예불이나 의식 때 사용하는 범종(梵鐘)·법고(法鼓)·목어(木魚)·운판(雲板) 등 네 가지 법구(法具)를 佛殿四物 (불전사물)또는 法殿四物(법전사물) 이라 하는..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