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축산 불영사(天竺山 佛影寺) 미륵존불(彌勒尊佛) 불영사 주변의 명상의 길 남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불영사 불영지(佛影寺 佛影池) 불영사 이름은 불영지(佛影池). 즉 연못에 서남방향의 불영암 바위가 석가모니불 처럼 우뚝 서 있는데, 석가모니불이 이 물 위에 그림자 처럼 형상의 ..
불영사 부도(佛影寺 浮屠)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2호 불영사 부도(佛影寺 浮屠)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2호 불영사 부도는 조선시대 불영사의 주지를 지낸 양성당(養性堂) 혜능선사(惠能禪師, 1621~1696)의 사리를 모신 사리탑이다. 양성당 선사의 법명은 혜능(惠能)이고, 세속의 성(姓..
산태극(山太極), 수태극(水太極) 형국의 “천축산 불영사(天竺山 佛影寺)” 울진(蔚珍) 천축산(天竺山)에 자리한 불영사(佛影寺)는 신라 진덕여왕(新羅 眞德女王) 5년(651년)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한 고찰로 서쪽 산 등성이에 부처님 형상을 한 바위가 절 앞 연목못 비침으로 불영사(佛..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蔚珍 佛影寺 大雄寶殿)-보물 제 1201호) 대웅보전은 불영사의 중심법당으로 석가모니부처를 모신 전각이다. 이 대웅보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겹처마 팔작기와집이다. 기단은 다듬은 돌을 허튼층 쌓기하였으나 가구식 기단과 유사하며, 건물 앞면에는 어칸..
울진 불영사 응진전(蔚珍 佛影寺 應眞殿) 불영사(佛影寺)는 신라 진덕여왕(新羅 眞德女王) 5년(651)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세웠다고 전하는데, 당시 이곳 연못 위에 다섯 부처님의 영상이 떠오르는 모습을 보고 거기 살던 용을 쫓아낸 뒤 절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조선 태조 5년(1396) 나..
불영사 삼층석탑(佛影寺 三層石塔) 이 탑은 불영사의 대웅보전 앞에 위치하였으며, 재질은 화강암으로 2층 기단(基壇)을 구비한 평면방형의 일반형 삼층석탑으로 높이는 3.21m이다. 기단부는 상하 2층의 기단으로 되어 있는데, 지대석은 새로 만들었다. 하층기단 면석은 4매의 판석으로 조..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