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사 오층석탑(新元寺 五層石塔)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신원사 오층석탑(新元寺 五層石塔)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이 탑은 이중 기단을 갖춘 5층 석탑이다. 신라 석탑의 전통을 이어받은 고려시대 탑인데 5층의 부분재료가 없어 졌다. 기단에 비하여 탑의 몸체가 둔해 보이..
직지사 비로전(直指寺 毘盧殿) 고려 태조때 능여조사(能如祖師)에 의해 처음 세워진 비로전은 천불상을 모시고 있다고 해서 천불전(千佛殿)으로 불리며 임진왜란 때 일주문, 천왕문과 함께 병화를 모면하였으며 그 가운데서도 불전으로는 유일하게 소실을 면하였다. 정면 7간, 측면 3간의 ..
도갑사 미륵전과 석조여래좌상(道岬寺 彌勒殿과 石造如來坐像) - 보물 제89호 용수폭포(龍水瀑布) 이 폭포는 도갑사(道岬寺)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이 봉안(奉安)되어 잇는 미륵전(彌勒殿)을 끼고 돌아 흐르는 계곡에 위치한다. 옛날 '이무기가 용(龍)이 되어 승천하였다'는 전설이 있..
백양사 사천왕문(白羊寺 四天王門)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백양사 사천왕문은 동서남북을 지키는 사천왕이 불법을 수호하면서 악귀가 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지키는 백양사의 출입문이다.지금의 건물은 일제강점기인 1917년 송만암 대종사(宋曼庵 大宗師, 1876~1956)가 백양사를 다시..
조선 불교의 중심 도량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는 근대 이전 대둔사와 대흥사로 불리었다가 근대 이후 대흥사로 정착되었다.해남 두륜산(頭輪山)의 빼어난 절경을 배경으로 위치하여 한국불교사 전체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현충사 정려(顯忠祠 旌閭) 아산 현충사(顯忠祠, 사적 제112호)는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1545~1598)장군을 모신 사당이다. 그러나 이곳은 장군이 8살 때 서울에서 아산 외가로 이사한 이후 무과에 합격하여 임지로 나가기 전까지 살았던 곳으로서 장군이 전사한 후 108년이 지난 숙종 30년(1704) ..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시는 사찰 당우(堂宇), 내장사 극락전(內藏寺 極樂殿)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신 전각으로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도 하며, 전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1964년에 세워졌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은 인간의 가장 큰 고통인 죽음을 물리치고 영원한 생명을 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