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사(孤雲寺) 가운루(鴐雲樓)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이 사찰은 신라 신문왕 원년(681) 의상조사(義湘祖師)가 처음 건립하여 고운사(孤雲寺)라 이름 하였다. 그 후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이 여지(如智), 여사(如事) 양대사(兩大師) 등과 함께 가운루, 우화루(羽化樓)를 ..
동화사(桐華寺) 조사전(祖師殿) 동화사(桐華寺) 조사전(祖師殿)은 동화사를 거쳐간 역대 고승의 영정을 모셔둔 곳이다. 동화사를 창건한 스님으로 알려진 극달화상(極達和尙)과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사명대사(四溟大師) 유정(惟政), 인악대사(仁岳大師) 세장(世章), 두여(斗如), ..
직지사 사명각(直指寺 四溟閣) 사명각(四溟閣)은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구한 호국대성 유정(護國大聖 惟政) 사명대사(四溟大師)의 영탱을 봉안하여 대사의 유덕을 기리는 건물로서 조선 정조 11년(1787)에 창건되었다. 현 건물은 수차례 중수를 거쳐 녹원 화상에 의하여 석조축대를 신축하..
동화사 봉서루(桐華寺 鳳棲樓) 봉서루(鳳棲樓)는 '봉황이 깃든 누각' 이란 뜻으로 동화사를 대표하는 누각이다. 동화사의 가람 배치에서 봉서루는 불이문 또는 해탈문이라 부르는 중문에 해당한다. 네모난 돌기둥을 세워 누문을 만들고, 그 위에 정면 5칸의 목조 누각을 세운 독특한 건축..
봉은사 영각(奉恩寺 影閣) 본래 이곳은 전몰장병 등 호국영령의 위패가 봉안되던 충령각(忠靈閣)이었다. 그러다가 1993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중건하면서 영각(影閣)으로 바꾸어 봉은사에 머물렀던 여러 고승들의 진영(眞影)을 모셔 놓았다. 영각(影閣)이란 고승의 진영(眞..
사명대사 동상(四溟大師 銅像) 사명대사 유정(四溟大師 惟政:1544~1610)은 조선 중기의 고승으로서 풍천 임씨(豊川任氏)이며 속명은 응규(應奎)이고 자는 이환(離幻)이며 호는 사명당(四溟堂) 또는 송운(松雲)이고 별호는 종봉(鍾峯)이며 경상남도 밀양 출신으로서 아버지는 수성(守成)이며, ..
금강산 건봉사(金剛山 乾鳳寺)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건봉사로 723(냉천리 36)에 위치한 건봉사(乾鳳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로 520년(신라 법흥왕 7년)에 아도화상(阿度和尙)이 창건하고 원각사(圓覺寺)라 하였으며, 758년에 발진화상이 중건하고 정신, 양순스님 등과 염..
나한도량(羅漢道場) "무봉산 만의사(舞鳳山 萬儀寺)"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중리에 위치한 무봉산 만의사(舞鳳山 萬儀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로 신라 때 창건되어 당시에는 만의사(萬義寺)라 하였다. 1284년(고려 충렬왕 10) 정길(貞吉)과 현묵(玄默)이 중창하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