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희(崔寅熙) 시비(詩碑) - 낙조(落照) 낙조(落照) 최인희(崔寅熙 1926.12.29 ~ 1958.8.31) 소복이 산마루에는 햇빛만 솟아 오른듯이 솔들의 푸른빛이 잠자고 있다 골을 따라 산길로 더듬어 오르면 나와 더불어 벗할 친구도 없고 묵중히 서서 세월 지키는 느티나무랑 운무도 서렸다 녹아진 바위..
이사부사자공원(異斯夫獅子公園) 신라 장군 이사부의 개척정신과 얼을 이어받은 가족형 테마공원으로 동해안의 아름다운 절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공원 야외에는 삼척바다 문어를 별주부전으로 스토리텔링한 조형물을 설치하고 조합놀이대 등을 정비하여 볼거리 및 체험거리를 ..
죽서루 선사 암각화와 용문바위 삼척 죽서루(三陟 竹西樓) - 보물 제213호 관동팔경의 하나로 1275년(충렬왕 1) 이승휴(李承休)가 창건했으며, 현재의 건물은 1403년(태종 3)에 삼척부사 김효손(金孝孫)이 중수한 것이다. 그러나 그후 여러 차례의 수리로 인해 원형이 많이 손상되었다. 정면 7칸..
송강 정철(松江 鄭澈) 가사(歌辭)의 터(址) 표석(標石) 문화관광부에서 1991년 2월을 송강 정철의 달로 정하고 우리나라의 가사문학에 커다란 업적을 남긴 송강 정철을 기념하는 표석을 2개소에 세웠다. 하나는 관동별곡에 나오는 관동팔경의 하나인 삼척 죽서루 경내이고, 다른 하나는 성산..
해가사(海歌詞)의 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의 가요로 해가(海歌), 또는 해가사(海歌詞)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권2 수로부인(水路夫人)에 다음과 같은 유래가 실려 전한다. 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純貞公)이 강릉태수(江陵太守)로 부임하는 도중, 바닷가의 한 정자에서 점심을 먹을 때 돌연..
해신당공원 성 민속실(海神堂公園 性 民俗室) 해신당공원 성 민속실(海神堂公園 性 民俗室) 동서양을 불문하고 예로부터 성(性)은 생산과 풍요를 가져다주는 성스러운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따라 고대인들은 성행위나 성기(性器)를 신성시하게 되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성기숭배로 ..
세계적인 성(性) 민속공원, 삼척 해신당공원(三陟 海神堂公園) 동해안 유일의 남근숭배민속(男根崇拜民俗)이 전해 내려오는 해신당 공원에는 해학적인 웃음을 자아내는 남근조각공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명 해낭당(海娘堂)이라고 불리우는 해성황당(海城隍堂)은 신남리 바다로 향한..
삼척 어촌민속전시관(三陟 漁村民俗展示館) 풍어제 (동해안 별신굿) 동해안 별신굿은 어촌에서 해상의 안전과 만선 뿐만 아니라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기 위하여 마을 전체가 지내는 당굿 형태의 풍어제이다 먼저 엄숙한 유교식 제사를 지낸 다음 세습 무당에 의해 굿거리가 행하여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