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행수륙도량(國行水陸道場) 두타산 삼화사(頭陀山 三和寺) ‘동해안 제일의 산수’라 할 정도로 아름다운 자연경관의 백미를 보여주는 명승 제37호 동해 무릉계곡 내에 위치한 천년고찰 삼화사는 1977년 원절터가 쌍용양회 채광권에 편입되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삼화사는 10여개..
보문사 석실(普門寺 石室)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7호 보문사 석실(普門寺 石室)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7호 신라 선덕여왕 4년(635)에 회정대사(懷正大師)가 처음 건립하고 조선 순조 12년(1812)에 다시 고쳐 지은 석굴사원이다. 천연동굴을 이용하여 입구에 3개의 무지개 모양을 한 ..
궁예(弓裔)와 임꺽정(林巨正), 박문수(朴文秀)의 구전 설화가 있는 칠현산 칠장사(七賢山 七長寺) 칠장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며, 7세기 중엽 신라 선덕여왕(632~647)대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고려 현종(顯宗) 5년(1014)에는 혜소국사(慧炤..
황우산 연호사(黃牛山 烟湖寺) 황우산 연호사(黃牛山 烟湖寺) 연호사(烟湖寺)는 합천읍 남쪽 황강변 절벽 아래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사찰로. 전하는 기록에 따르면 선덕여왕 12년(643)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565년 대야주가 설치되고 합천지역에 대야성이 군사적 요충지로 중요시 되면서 연..
경주 첨성대(慶州 瞻星臺) - 국보 제31호 이 첨성대는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재위 632~647) 때 만들어진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 관측대이다. 화강석을 가공하여 조성한 기단(基壇) 위에 27단의 석단(石段)을 원통형의 곡선(曲線)으로 쌓아 올리고, 그 위에 장대석(長大石)을 우물 정자형(..
함월산 기림사(含月山 祈林寺) 기림사(祇林寺)는 경주시 양북면 기림로 함월산 기슭에 있는 사찰로 643(신라 경덕여왕12)에 창건되었다. 이 사찰은 불국사보다 앞서 지어진 가람으로 한때는 불국사를 말사로 거느릴 정도의 큰 대찰이었다. 기림사는 천축국(天竺國, 인도)에서 온 광유성인(..
기림사 응진전(祇林寺 應眞殿) - 경북 유형문화재 제214호 이 곳은 아라한(阿羅漢)을 모신 건물로, 대적광전(大寂光殿)을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에 지어진 것으로 전하지만, 조선 후기에 다시 중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면은 기둥 6개의 5칸이고 ..
법흥사 적멸보궁(法興寺 寂滅寶宮) - 온 인류 참회 기도도량 사자산 법흥사는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 자장율사가 중국 종남산 운제사에 모셔져 있는 문수보살의 석상 앞에서 7일간의 정진기도 끝에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문수보살로부터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가사·발우 등을 전수받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