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사 지장전(松廣寺 地藏殿) 1988년 중창된 지장전은 중건 이전에는 명부전(冥府殿)이라 불리었다. 지장전은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주불로 모신 전각으로 지장보살의 좌우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모시고 섰고, 그 좌우로 저승의 시왕(十王)이 모셔져 있고, 천도재와 49재, 영가천도 등 ..
송광사 임경당, 육감정(松廣寺 臨鏡堂, 六鑑亭) 송광사(松廣寺) 임경당((臨鏡堂)은 1797년에 건립된 요사채 건물로, 건물의 정면은 ㅗ자형의 정자 모습으로 상부에 팔작지붕의 지붕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삼청선각(三淸僊角)이라 불리며, 육감정(六鑑亭 : 눈(眼), 귀(耳), 코(鼻), 혀(舌), 몸(身..
송광사 조계문(松廣寺 曺溪門) 조계문(曹溪門)은 송광사(松廣寺)의 첫 관문으로 일주문(一柱門)이라고도 부른다. 이 일주문은 신라말에 처음 세운 것을 1310년, 1464, 1676년 1802년에 고쳐 지었으며, 현재의 조계문은 양식상 1802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계단 좌우에 세운 돌짐승은 그 형태가 모..
송광사 침계루(松廣寺 枕溪樓) 송광사 침계루는 정면 7칸 측면 3칸 맞배지붕의 초대형 누각형태의 건물이다. 우화각 위 하천가(신평천)에 축대를 쌓아 2층으로 기둥을 세워 누각형태의 건물을 지어 침계루(枕溪樓)라 이름 붙였는데, 바같에서 보면 중층으로 보이지만 안쪽에서 보면 누각이..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順天 松廣寺 普照國師 甘露塔) 불일 보조국사(佛日 普照國師)의 감로탑(甘露塔)은 송광사 설법전 우측 현 관음전 뒤뜰 언덕에 있다. 보조국사는 고려시대 송광사 16국사중 제1세이며 또한 정혜결사를 일으킨 주인공이다. 당시 고려후기의 불교계에 새로운 정..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順天 松廣寺 塑造四天王像)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順天 松廣寺 塑造四天王像)은 흙으로 조성한 것으로 송광사 천왕문의 좌우에 2구씩 모두 4구가 안치되어 있다. 사천왕상의 배열은 천왕문의 향 우측으로 비파를 든 북방 다문천왕과 검(劍)을 든 동방 지국..
순천 송광사 관음전(順天 松廣寺 觀音殿) 송광사 관음전은 본래 성수전(聖壽殿)이라 하여 1903년 고종황제의 성수 망육(聖壽 望六, 51세)을 맞아 임금이 이름을 지어서 편액을 내린 황실기도처로 건축되었으나, 1957년 옛 관음전을 해체하면서 관세음보살님을 옮겨모시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
송광사(松廣寺) 척주당(滌珠堂)과 세월각(洗月閣) 척주당(滌珠堂)은 '구슬을 씻는다'는 의미로 남성의 공간임을 나타내고 동향(東向)을 하고 있으며 대웅보전을 향하고 있다. 세월간(洗月閣)은 '달을 씻는다'는 의미로 여성의 공간임을 나타내고, 북향(北向)으로 일주문을 보고 있다. 이 당..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