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복위운동 성지(端宗復位運動 聖地) - 금성대군신단(錦城大君神壇) 금성대군신단이 있는 이곳은 순흥안씨(順興安氏)의 관향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곳으로서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1495~1554)과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고고한 학문이 서려 있는 선비의 고장이다. 이곳 금성단..
성삼문선생유허지(成三問先生遺墟址) - 충청남도 기념물 제5호 성삼문 선생의 외가가 있던 곳으로 그가 태어난 집터이다. 성삼문은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폐하고 왕위에 오르는 것에 반대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세종(재위 1418∼1450) 때 집현전의 학자로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하..
단종과 정순왕후가 영영 이별한 곳, 영도교(永渡橋) 단종과 정순왕후가 영영 이별한 곳, 영도교(永渡橋) 청계천 7가와 8가 중간, 즉 황학동에서 숭인동 숭신초등학교와 동묘로 나가는 교차로에 있는 다리이다. 조선 초에는 왕심평대교(旺尋坪大橋)라고도 하였다. 이 다리에는 단종(端宗, 144..
사육신묘(死六臣墓)와 사육신역사공원(死六臣歷史公園) 사육신묘(死六臣墓)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호 이곳은 조선 제6대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 목숨을 바친 사육신을 모신 곳이다. 단종 3년 음력 윤 6월(1455) 단종의 숙부(叔父)인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簒奪)..
사릉(思陵) - 조선 제6대 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능 실록으로 엿보는 왕 과 비 백성들이 따르고 애도한 왕후의 뒤안길(정순왕후) 한나라 왕비였던 여인의 한 서린 통곡이 백성들의 마음까지 울린 것일까. 정순왕후가 산봉우리에 올라 곡을 하면 민초들도 따라 울었고, 생계가 어려운 왕후를 ..
남양주 광릉(南楊州 光陵) - 사적 제197호 광릉(光陵)은 조선 제7대 세조(世祖, 1455~1468 재위.1417~1468년)와 정희왕후(貞熹王后, 1418~1483) 윤씨가 묻힌 곳이다. 세조는 1417년 9월29일 세종(世宗)과 소헌왕후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타고난 자질이 영특하고 명민(明敏)하여 학문과 무예도 ..
한확선생 신도비(韓確先生 神道碑) 한확선생 신도비(韓確先生 神道碑)는 2층 받침돌 위에 몸을 세우고 용을 조각한 머릿돌을 얹었고 받침돌의 옆면에는 2단으로 안상(眼象)을 새기고 윗면에는 연꽃무늬를 조각했다. 비문(碑文)에는 명나라에 사신으로 왕래하면서 국교를 원활하게 한 그의..
비운의 어린왕이 잠든곳...영월 장릉 (사적 제196호)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121의 장릉(莊陵)은 조선 제6대왕인 단종(端宗)의 능이다. 단종은 세종23년(1441) 7월 23일, 동궁 자선당에서 문종과 현덕황후 권씨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홍위(弘暐)이며 세종30년(1448) 8세로 왕세손에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