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사 삼청교 및 우화각(松廣寺 三淸橋 및 羽化閣) 송광사(松廣寺)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통로인 다리는 삼청교(三淸橋)이고, 그 위에 지은 건물은 우화각(羽化閣)이다. 삼청교는 일명 ‘능허교(凌虛橋)’라고도 한다. 19개의 네모난 돌로 무지개 모양을 만든 후, 양 옆에 다듬은 돌을 쌓아 ..
송광사 대웅보전(松廣寺 大雄寶殿) 송광사 대웅보전은 1951년 소실된 후 1988년 송광사 8차 중창불사 때 다시 지어졌다. 대웅보전에는 삼세(과거 현재 미래)제도를 염원하는 삼세불. 즉 과거불인 연등불ㆍ현재불인 석가모니불ㆍ미래불인 미륵불을 모셨으며 각 부처님의 좌우에 관세음보살 ..
송광사(松廣寺) 청량각(淸凉閣)과 극락홍교(極樂虹橋) 송광사를 진입하여 처음 만나는 건물인 청량각(淸凉閣)이다. 계곡의 흐르는 물 위로 석조다리인 극락홍교(極樂虹橋)가 놓여 있고, 그 위에 누교(樓橋)인 청량각이 세워져 있다. 다리를 건너는 누각으로 정면 1칸 측면 4칸의 팔작건물로..
송광사 지장전(松廣寺 地藏殿) 1988년 중창된 지장전은 중건 이전에는 명부전(冥府殿)이라 불리었다. 지장전은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주불로 모신 전각으로 지장보살의 좌우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모시고 섰고, 그 좌우로 저승의 시왕(十王)이 모셔져 있고, 천도재와 49재, 영가천도 등 ..
송광사 임경당, 육감정(松廣寺 臨鏡堂, 六鑑亭) 송광사(松廣寺) 임경당((臨鏡堂)은 1797년에 건립된 요사채 건물로, 건물의 정면은 ㅗ자형의 정자 모습으로 상부에 팔작지붕의 지붕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삼청선각(三淸僊角)이라 불리며, 육감정(六鑑亭 : 눈(眼), 귀(耳), 코(鼻), 혀(舌), 몸(身..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順天 松廣寺 塑造四天王像)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順天 松廣寺 塑造四天王像)은 흙으로 조성한 것으로 송광사 천왕문의 좌우에 2구씩 모두 4구가 안치되어 있다. 사천왕상의 배열은 천왕문의 향 우측으로 비파를 든 북방 다문천왕과 검(劍)을 든 동방 지국..
순천 송광사 관음전(順天 松廣寺 觀音殿) 송광사 관음전은 본래 성수전(聖壽殿)이라 하여 1903년 고종황제의 성수 망육(聖壽 望六, 51세)을 맞아 임금이 이름을 지어서 편액을 내린 황실기도처로 건축되었으나, 1957년 옛 관음전을 해체하면서 관세음보살님을 옮겨모시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