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永同 般若寺 三層石塔) - 보물 제1371호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永同 般若寺 三層石塔) - 보물 제1371호 이탑은 전형적인 신라 말과 고려 초기에 유행했던 단층 기단형 삼층석탑으로 신라 문성왕(文聖王) 8년 반야사 창건(846년) 당시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지대석(地臺..
황간역광장(黃澗驛廣場)에서~~
노근리평화공원의 연꽃정원 연꽃 - 이진해 연꽃이 피었다 바람에 떨어진 쉼표는 덧니처럼 꽃대에 올라앉았다 온 몸이 녹아 내렸다 이별의 끝이다 쉼표에 따라온 말 한마디 연잎처럼 푸르다 돌아가야 할 약속들이 쉼표같은 검은 씨앗이 된다 샤워꼭지를 달았다 소리처럼 터트리고 싶었다 진흙처럼 온 몸을 반죽해대는 인연의 실루엣같은 연꽃이 피었다 그 외는 아무것도 인화되지 못하게 샤워꼭지를 잠근다
영동 송우암 유허비(永同 宋尤菴 遺墟碑) 우암송선생유허비(尤菴宋先生遺墟碑) 영동 송우암 유허비(永同 宋尤菴 遺墟碑) - 충청북도 기념물 제46호 이 비석은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1607~1689) 선생이 이곳에 잠시 은거하며 학문을 가르치던 곳을 알리기 위해 정조 3년(1779)에 세운 것이다..
노근리 평화공원(老斤里 平和公園)의 조각작품 모자상(母子像) 노근리사건 당시 갓난 남자아이가 배고픔을 참지 못하여 총탄에 맞아서 이미 숨진 엄마의 젖꼭지를 물고 있는 모습을 재현한 모자상이다. 이 모자상은 노근리사건 당시의 비참함과 전쟁의 비극적 단면을 상징적으로 보여주..
영동 한천정사(永同 寒泉精舍)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28호 寒泉精舍(한천정사) 충북 영동 출신의 서예가로 5체(전,예,해,행,초)에 능했던 담당 송우용(澹堂 宋友用, 1863~1941) 선생의 글씨 영동 한천정사(永同 寒泉精舍)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28호 이곳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1607~1..
대한의사 이건석선생기념비(大韓義士 李建奭先生紀念碑) 대한의사 이건석선생기념비(大韓義士 李建奭先生紀念碑)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관리번호 : 25-1-6) 이건석(李建奭 1852~1906 충북 영동 출신) 을사조약에 항거하다 순국한 애국열사로서 자는 한경(漢卿), 호는 성석(醒石), 본관은 ..
천태산 영국사(天台山 寧國寺)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천태산(天台山)은 지륵산(智勒山) 또는 천주산(天柱山)이라고도 한다. 527년에 원각국사(圓覺國師)가 창건하였고, 고려 문종 때 의천(義天)이 중창하여 절 이름을 국청사(國淸寺), 산 이름을 천주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