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산 봉녕사(光敎山 奉寧寺) 봉녕사(奉寧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의 말사로 광교산(光敎山)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수원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 사찰로 고려시대의 불상인 석조 삼존불과 약사정의 신중 탱화와 현황 탱화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제152호로 지정되어 ..
천년고찰 소백산 용문사(千年古刹 小白山 龍門寺)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김룡사본말사지(金龍寺本末寺誌)”에 의하면, 870년(경문왕 10)에 두운(杜雲)이 절을 창건하여 용문사라 하였다고 한다. 두운이 이 산의 동구에 이르렀을 때 바위 위에서 용이..
천하명당, 금당실 전통마을 금당실은 마을내 고인돌 무덤이 산재하여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청동기시대부터 이곳에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기록상으로는 600여년전 15세기 초 감천문씨(문헌)가 이곳에 정착하여 살면서 그의 손자 문부경의 사위 박종린과 변응녕이 처..
용문사 자운루(龍門寺 慈雲樓) 이 건물은 용문사 대장전(大藏殿)과 대향하고 있는 박공 지붕의 이층 누각집으로 임진왜란 때 승병(僧兵)들의 회담장이었으며, 승속(僧俗)들이 승병을 돕기 위해 짚신을 만든 호국의 장소이기도 하다. 사적에 의하면 고려 의종(高麗 毅宗) 20년(1166년) 자엄대..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윤장대(輪藏臺) 용문사(龍門寺)는 통일신라(統一新羅) 경문왕(景文王) 10년(870년) 두운선사(杜雲禪師)가 세운 절이다. 이 건물은 고려(高麗) 명종(明宗) 3년(1173년)에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의 일부를 간직하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조선(朝鮮) 현..
예천 삼강주막(醴泉 三江酒幕) 삼강주막은 삼강나루의 나들이객에게 허기를 면하게 해주고 보부상들의 숙식처로, 때론 시인 묵객들의 유상처로 이용된 건물이다. 1900년 경에 지은 이 주막은 규모는 작지만 그 기능에 충실한집약적 평면구성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건축역사 자료로서 희..
예천 초간정(醴泉 草澗亭) 이 건물은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한 초간 권문해(權文海 1534~1591)가 세우고 심신을 수양하던 곳이다. . 조선 선조(宣祖) 15년(1582년)에 처음 지어진 이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중건하였으나, 인조(仁祖) 14년(1636년)에 다시 불타는 등 수..
태종(太宗)의 아들 "혜령군(惠寧君) 이지(李祉)" 묘소 혜령군(惠寧君) 1407년(태종7년)∼1440년(세종22년). 이름은 이지(李祉)이고, 자는 선여(善餘)이고, 호는 동계(棟溪)이다. 조선조 제3대 태종(太宗)의 아홉번째 왕자이자 세종의 이복동생으로 태어나 34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 혜령군은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