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암서원 응도당(遯巖書院 凝道堂)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보물 제1569호 遯巖書院(돈암서원) 崇禎 庚子 三月 日 宣賜 - 숭정 경자(1660년) 3월 일 선사 1660년 우암 송시열 선생의 글씨라고 전한다. 응도당 주련(凝道堂 柱聯) 응도당의 주련은 중국 송(宋)나라 난계(蘭溪) 범준(范浚)의 "심잠(..
소수서원 경렴정(紹修書院 景濂亭) 경렴정은 소수서원으로 들어서기 바로 전에 있는 정자로 유생(儒生)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며 마음의 여유를 찾던 공간이다. 1543년(중종 38) 풍기군수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 1495~1554)이 백운동 서원(白雲洞 書院)을 건립하면서 이 정자를 지었..
전주 한옥마을의 은행로(銀杏路) 전주 한옥마을의 은행로(銀杏路)는 향교사거리에서 은행나무정 까지의 도로로 이 길목에는 수령이 500년은 족히 됨직한 은행나무가 서 있다. 은행나무는 벌레가 슬지 않는 나무로 관직(官職)에 진출한 유생(儒生)들이 부정에 물들지 말라는 뜻에서 향교(鄕..
유생(儒生)들의 발자취를 찾아.. 전주향교(全州鄕校) 향교(鄕校)는 유학교육(儒學敎育)과 인재양성을 위해 지방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전주향교(全州鄕校)는 고려시대에 세웠다고 하는데 정확한 기록은 없다. 당시에는 조선 태조의 영정(影幀)을 모신 경기전(사적 제339호) 근처에 있었으..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소수서원(紹修書院)"에서 선비들의 숨결을 들으며...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서원(書院)으로 세종대에 설립되었다는 기록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고 최초로 국학의 제도를 본떠 선현을 제사지내고 유생들을 교육한 서원으로 알려져 있다. 풍기군수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