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비 (韓國儒林 獨立運動 巴里長書碑)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10-1-8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유림(儒林)은 한국 독립을 호소하는 장문의 서한(書翰)을 작성하여 파리 강화회의(Paris Peace Conference)에 제출하였다. 곽종석(郭鍾錫), 김복한(金福漢), 하용..
장충단공원(奬忠壇公園) 국민 가수 배호의 우수에 찬 목소리로 우리의 심금을 울리는 노래 “안개낀 장충단 공원”으로 널리 회자된 ‘장충단 공원’. 남산 동쪽 봉우리 종남산(終南山)기슭 아래의 동북쪽 일대는 예로부터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으로 경치 좋은 곳으로 이름이 높았다. 이..
수표교(水標橋) 장충단 공원 입구에 놓여있는 돌다리로, 원래는 청계천 2가에 있었으나 1959년 청계천 복개공사를 하면서 1965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 다리 길이 27.5m에 폭 7.5m, 높이 4m이며 화강암을 짜맞추어 만들어 놓은 것으로, 아래의 돌기둥이 특이하게도 2단을 이루고 있다. 그 중 ..
장충단비(奬忠壇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호 이 비는 1900년(광무 4년) 서울시 장충동에 건립된 장충단비(奬忠壇碑)로 민영환(閔泳煥)이 비문을 지었고 글씨를 썼다. 장충단은 조선 고종 32년(1895년)에 일어난 명성황후 시해사건 당시 일본인을 물리치다 순사한 홍계훈(洪啓薰), 이경직..
일성 이준열사 동상(一醒 李儁烈士 銅像)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10-1-7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197번지 이준열사는 1859년 1월 21일(음력 1858년 12월 28일)함경남도 북청군 속후면 중산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한학을 익혔고 성장해서는 고향 부근에서 경학원을 설립,..
사명대사 동상(四溟大師 銅像) 사명대사 유정(四溟大師 惟政:1544~1610)은 조선 중기의 고승으로서 풍천 임씨(豊川任氏)이며 속명은 응규(應奎)이고 자는 이환(離幻)이며 호는 사명당(四溟堂) 또는 송운(松雲)이고 별호는 종봉(鍾峯)이며 경상남도 밀양 출신으로서 아버지는 수성(守成)이며, ..
류관순 동상(柳寬順 銅像)-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10-1-9, 건립자: 애국선열조상건립위원회, 서울신문사 류관순(柳寬順)은 1902년 충남 천안시 병천면에서 태어나 1919년 4월 1일(음력 3월 1일) 병천면 아우내 장터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이화학당 고등과 1학년 때 거족적..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