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월정사(五臺山 月精寺) 금강연(金剛淵) 서대 수정암 인근에 테두리를 두른 샘(檻泉, 함천)이 용출(湧出)하는데 색과 맛이 보통 물보다 뛰어나고 그 무게 역시 그러하다. 이를 일컬어 우통수라 하는데 곧 금강연이니 한수(漢水)의 시원이 된다.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금..
혜안스님 서각 특별전, “금강경을 품다” 오대산문화축제의 일환으로 월정사 기획전시실에서 ‘금강경을 품다’를 주제로 혜안 스님의 서각 특별전을 개최했다. 서각이란? 서각(書刻)이란? 글 서(書), 새길 각(刻)자로 즉 문자를 새긴다는 뜻이 된다. 또한 중국의 문헌에는 “새난 동물의..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종,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鐘) - 국보 제36호 동정각(動靜閣) ‘梵鐘閣(범종각)이 아닌 초서로 “動靜閣(동정각)”이라 쓴 현판이 붙어 있는데, 동정각 편액은 탄허(呑虛) 스님의 글씨이다. 탄허 스님은 일생을 거의 상원사에서 보내신 분이다. 스승인 한암 스님과의..
문수성지 오대산 상원사(文殊聖地 五臺山 上院寺) 오대산 상원사(五臺山 上院寺) 적멸보궁(寂滅寶宮) 문수성지(文殊聖地) 관대걸이 관대걸이는 조선 초 세조가 피부병 치료를 목적으로 상원사로 오던 중 계곡에서 목욕을 할 때 의관을 걸어둔 곳을 기념해서 후대에 만든 표지석으로 다음..
상원사 영산전(上院寺 靈山殿) 및 영산전 석탑(靈山殿 石塔) 상원사 영산전(上院寺 靈山殿)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4호 영산전은 정면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1946년 화재가 났을 때 유일하게 화마를 피한 전각으로 오대산 내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법당에는 석가 삼존상과 십육 나한상..
월정사 팔각구층석탑(月精寺 八角九層石塔) - 국보 제48호 월정사 팔각구층석탑(月精寺 八角九層石塔) - 국보 제48호 높이 15.2m의 이 석탑은 고려초기 석탑을 대표하는 다각다층석탑으로 석탑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고려시대가 되면 4각형 평면에서 ..
오대산 상원사(五臺山 上院寺)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 산록에 아담하게 자리잡은 앉은 상원사는 목조 문수동자좌상을 모신 주 전각 문수전에 딸린 영산전과 청량선원, 범종각이 있는 소박한 사찰이다. 가람의 규모가 작은 탓에 흔히 월정사의 ‘산내 암자’쯤으로 인식되지..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동산리)의 상원사 동종(上院寺銅鍾)은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종으로, 한국 종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구리종으로 통일신라 시대인 725년(성덕왕 24년)에 주조되었으며, 높이는 1.67m이고 입지름은 약 0.91m이다.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