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정사 팔각구층석탑(月精寺 八角九層石塔) - 국보 제48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9. 10. 26. 19:30
월정사 팔각구층석탑(月精寺 八角九層石塔) - 국보 제48호
월정사 팔각구층석탑(月精寺 八角九層石塔) - 국보 제48호
높이 15.2m의 이 석탑은 고려초기 석탑을 대표하는 다각다층석탑으로
석탑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고려시대가 되면 4각형 평면에서 벗어난 다각형의 다층(多層) 석탑이 우리나라에서 주로 유행하게 되는데,
이 탑도 그러한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 전기 석탑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탑은 8각 모양의 2단 기단(基壇) 위에 9개의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된,
즉 9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새겨 놓았고,
아래. 위층 기단 윗부분에는 받침돌을 마련하여 윗돌을 괴어주도록 하였다.
탑신부는 일반적인 석탑이 위층으로 올라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과 달리
2층 탑신부터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1층 탑신의 4면에 작은 규모의 감실(龕室: 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마련해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계단 모양의 받침을 두지 않고 간략하게 마무리하였고,
가볍게 들려있는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아 놓았다.
지붕돌 위로는 머리장식이 완벽하게 남아 있는데,
아랫부분은 돌로, 윗부분은 금동으로 만들어서 화려한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당시 불교문화 특유의 화려하고 귀족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적인 비례와 조각수법이 착실하여 다각다층석탑을 대표할 만하다.
또한 청동으로 만들어진 풍경과 금동으로 만들어진 머리장식을 통해
고려시대 금속공예의 수법을 살필 수 있어 더욱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동산리) 대한불교조계종 월정사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종,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鐘) - 국보 제36호 (0) 2019.10.28 상원사 영산전(上院寺 靈山殿) 및 영산전 석탑(靈山殿 石塔) (0) 2019.10.27 영월향교(寧越鄕校)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0) 2019.10.26 서울 구 화랑대역 - 등록문화재 제300호 (0) 2019.10.21 영주 부석사(榮州 浮石寺)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0) 2019.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