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획에 달하는 복잡한 한자 ‘삐양삐양’ ‘삐양(뺭, biang)’ 자는 모두 57획으로 정식 공인은 받지 못했고, 자판에도 없는 희귀한 글자이다. 중국 서안(西安)에서는 이 글자 2자를 겹쳐 ‘biang biang’이라는 면을 조리해서 먹었는데, 3천여 년 전 진시황께서 '삐양삐양면' 음식이 너무 맛있어서 최대한 어려운 이름을 붙여 혼자만 먹으려고 했다는 유래가 있다. 쿠따이(褲帶 = 고대, 허리띠) 면이라고도 부른다.
불로석상(不老石像) 불로석상(不老石像)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秦始皇, BC 259~210)이 삼신산(三神山)으로 불리는 한라산(漢拏山), 지리산(智異山), 금강산(金剛山)에 불로장생(不老長生)의 신선(神仙)이 먹고 사는 불로초(不老草)가 있음을 알고 서복(徐福)에게 구(求)해 오라고 명하였다. 서..
서귀포(西歸浦) 서복공원(徐福公園) 지금으로부터 약 2,200여년전인 중국 진시황(秦始皇) 때 사자(使者) 서불(徐福=徐市)이삼신산의 하나인 한라산(영주산)에서 불로초를 구하려고 동남동녀 500쌍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왔다가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徐市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서쪽..
서귀포(西歸浦)의 서복공원(徐福公園) 지금으로부터 약 2,200여년전인 중국 진시황(秦始皇) 때 사자(使者) 서불(徐福=徐市)이 삼신산의 하나인 한라산(영주산)에서 불로초를 구하려고 동남동녀 500쌍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왔다가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徐市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서..
서복(徐福), 서불(徐巿) 서복(徐福)은 서불(徐巿)이라고도 불리며, BC 255년(제왕 10년) 진(秦)나라가 통일하기 전 제(濟)나라에서 태어났다. 서복은 고향은 진나라 당시 제군(濟郡) 황현(黃縣) 서향(徐嚮)으로 오늘날 산동성 용구시(龍口市)이다. 한편 강소성 감유현 서부촌(徐阜村)도 ..
서복전시관(徐福展示館) 중국 진시황(秦始皇) 때 사자 서불(徐福=徐市)이 삼신산의 하나인 한라산(영주산)에서 불로초를 구하려고 동남동녀 500쌍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왔다가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徐市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서쪽으로 돌아갔다고 전해지고 있다. 서복전시관은 ..
진시황(秦始皇)과 불로초(不老草)에 얽힌 전설, "서복동도도(徐福東渡圖)" 중국 하북성 진황도시(秦皇島市)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와 우호 협력관계를 증진하기 위하여 기증한 이 서복동도도(徐福東渡圖) 조각상은 2008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에 걸쳐 제작되었다. 그림은 진황도시..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