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미륵대원지와 미륵세계사 세계사는 원래 명칭이 미륵세계사이고, 충주 미륵대원지(사적 제317호)를 터전으로 삼고 있다. 충주 미륵대원지는 나말 여초에 창건된 석굴 가람지로 추정되고 있다. 석등 2기, 당간지주(연화문), 대좌, 석귀부 등이 있으며, 중요 문화재들도 갖추고 있다. 전..
충주 미륵대원지 석등(忠州 彌勒大院址 石燈)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9호 - 전형적인 8각석등으로 균형이 잘 잡힌 우수한 석등이다. 하대석(下臺石)은 4각형이며 윗부분에 연꽃을 새겼다. 간주석(竿柱石)은 아무런 무늬가 없는 8각형의 돌기둥으로 상대석(上臺石)에는 앙련(仰蓮)을 조각..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忠州 彌勒里 五層石塔) - 보물 제95호 높이 6m로 단층 기단위에 5층의 탑신을 세웠으며 상륜부에는 노반과 복발, 찰주가 남아있다. 기단은 자연석에 가까운 큼직한 4각형 돌로 우주, 탱주의 표현은 없다. 갑석은 매우 좁은 2매의 판석으로 되어있고 갑석 하면에는 형식..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귀부(忠州 彌勒大院址 石造龜趺)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귀부(忠州 彌勒大院址 石造龜趺)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사찰의 남북 종축선에서 약간 좌측(동쪽)에 위치하여 북향하고 있으며, 길이 605cm, 높이 180cm로 우리나라 최대 규..
충주 미륵대원지 사각석등(忠州 彌勒大院址 四角石燈)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15호 - 이 석등(石燈)은 전형적인 양식에서 벗어나 특이한 결구 수법을 보여주는 석등으로 특히 석주형 화사석(火舍石)은 고려시대에 건립된 일부 석등에서만 채용된 기법으로 고려 수도인 개성 일대에서 확..
석실을 해체 보수 중에 있는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석실을 해체 보수 중에 있는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을 둘러싼 오른쪽 석실 앞부분 5m가 심하게 갈라져 안전진단을 벌여 2013년 10월부터 해체 보수공사를 실시하고 있다.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忠州 ..
충주-제천 고속도로 준공기념 시설(천등산휴게소) 천등산(天登山)휴게소가 위치한 이곳 충주(忠州)는 고구려(高句麗)의 역사와 문화가 보존되어 있는 지역으로 한민족(韓民族)의 기상과 역사적 숨결이 살아있는 곳이다. 5세기경 세워진 중원 고구려비(中原 高句麗碑), 충주 고구려비(忠州 ..
탄금대 사연 노래비 탄금대 사연 노래비 건립에 즈음하여 ​ 삼국의 중심인 중원(中原) 땅에 자리한 탄금대(彈琴臺, 지방기념물 제4호)는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문화가 꽃핀 곳이다. 탄금대는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가야국에서 망명한 악성(樂聖) 우륵(于勒) 선생이 12줄 가야금을 처..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