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월정사(五臺山 月精寺) 금강연(金剛淵) 서대 수정암 인근에 테두리를 두른 샘(檻泉, 함천)이 용출(湧出)하는데 색과 맛이 보통 물보다 뛰어나고 그 무게 역시 그러하다. 이를 일컬어 우통수라 하는데 곧 금강연이니 한수(漢水)의 시원이 된다.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금..
혜안스님 서각 특별전, “금강경을 품다” 오대산문화축제의 일환으로 월정사 기획전시실에서 ‘금강경을 품다’를 주제로 혜안 스님의 서각 특별전을 개최했다. 서각이란? 서각(書刻)이란? 글 서(書), 새길 각(刻)자로 즉 문자를 새긴다는 뜻이 된다. 또한 중국의 문헌에는 “새난 동물의..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종,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鐘) - 국보 제36호 동정각(動靜閣) ‘梵鐘閣(범종각)이 아닌 초서로 “動靜閣(동정각)”이라 쓴 현판이 붙어 있는데, 동정각 편액은 탄허(呑虛) 스님의 글씨이다. 탄허 스님은 일생을 거의 상원사에서 보내신 분이다. 스승인 한암 스님과의..
문수성지 오대산 상원사(文殊聖地 五臺山 上院寺) 오대산 상원사(五臺山 上院寺) 적멸보궁(寂滅寶宮) 문수성지(文殊聖地) 관대걸이 관대걸이는 조선 초 세조가 피부병 치료를 목적으로 상원사로 오던 중 계곡에서 목욕을 할 때 의관을 걸어둔 곳을 기념해서 후대에 만든 표지석으로 다음..
상원사 영산전(上院寺 靈山殿) 및 영산전 석탑(靈山殿 石塔) 상원사 영산전(上院寺 靈山殿)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4호 영산전은 정면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1946년 화재가 났을 때 유일하게 화마를 피한 전각으로 오대산 내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법당에는 석가 삼존상과 십육 나한상..
평창휴게소(平昌休憩所) 50번 영동고속도로에 위치한 평창휴게소(서창방향)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탑거리길 63 (이목정리)
평창 성필립보(Saint Philippus) 생태마을의 백송(Pinus bungeana) 소나무과(―科 Pinaceae)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 백송(白松)은 중국의 희귀수종이었는데, 종자이식이 어려워 우리나라에 그리 많지 않은 나무다. 생장이 느린 백송은 10년을 자라도 지름이 손가락 굵기 정도에 그친다고 하는데, 그..
아담하면서 조용한 개수리계곡(介水里溪谷) 강원도 평창군의 영동고속도로 장평IC를 빠져 나와 평창읍내 방면으로 지방도로를 타고 가면 금당계곡으로 들어갈 수 있는데, 금당산(錦塘山 1,173m) 자락을 따라 형성된 이 계곡은 행정구역상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개수리에 해당되어 개수리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