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방민가(南部地方民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남부지방민가(南部地方民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이 가옥은 남부지방민가로 안채와 바깥채가 일(-)자형으로 나란히 배치된 호남지방 특유의 형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규모는 호남지방의 중농가에 속하며 안채는 방과 마루 공..
향기를 즐기는 곳, 완향루(翫香樓)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향기를 즐기는 곳, 완향루(翫香樓)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완향루는 '향기를 즐기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자연을 벗 삼아 유유자적한 삶을 즐기라는 선조들의 풍류를 엿볼 수 있는 누각(樓)이다. 장방형 형태의 단..
명주베틀공방, 중부지방농가(中部地方農家) - 한국민속촌 안채와 사랑채를 ㄱ자형으로 마주 배치한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민가이다. 대청이 넓으면서도 튼 ㅁ자형으로 배치한 것은 북부지방의 가옥배치와 남부지방의 가옥구조를 잘 절충한 것이다. 부속 건물로 행랑채와 방앗간, 마굿간 ..
무봉산 금련사(舞鳳山 金蓮寺)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금련사의 주존불(主尊佛)은 아미타여래불(阿彌陀如來佛)이며, 토속화 과정에서 도입된 칠성(七星)과 산신(山神)을 함께 봉안하고 있다. 건물의 배치는 종래 많은 대찰(大刹)이 갖춰온 격식을 따랐으며 법당(法堂)인 극락보전(極樂..
북부지방 농가(北部地方 農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관북지방의 꽤 큰 농가형식이며 공간의 배치가 매우 고르고 규모가 갖추어진 집이다.큰부엌의 구들머리인 정주간에 5개의 방들이 안마루없이밀집양통(密集兩通)으로 구성되어 동절기 보온 위주로 계획되어 있다.규모가 큰 외양간..
굴피귀틀집 - 한국민속촌통나무를 정자형(井字形)으로 귀를 맞추어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들고 그 위에 굴피(나무껍질)로 지붕을 이은 집이다.지름15~20cm정도의 통나무를 사용하며 너와집과 마찬가지로 산간지역에 많이 분포 되어 있다.귀틀집은 풍부한 목재와 빠른 기간내에 튼튼한 집을 ..
남부지방 민가(南部地方 民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남부지방에서는 흔치 않은 ㄱ자형 안채와 남부지방 특유의 일(ㅡ)자형 아랫채가 혼합 구성된 민가 형식이다.버들공예를 주업으로 하는 집이어서 대청이 넓고 공방이나 재료 저장고로 쓸 수 있는 방이 많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남부지방 농가(南部地方 農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경기도 용인시 한국민속촌에 복원되어 있는 남부지방 농가이다.‘일자형(-자형)’을 기본으로 한 안채는 부엌에 딸린 부엌 방을 약간 달아내어서 변화를 보였다.방 사이에는 큰 마루가 없이 두방이 밀착된 점과 뒤쪽에 안사랑과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