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충현서원(忠賢書院) 조선시대 사립 교육기관인 서원은 학덕(學德)이 높은 명현(明賢)을 제사하며 청소년들을 모아서 교육하고 인재를 양성하던 곳이다. 서원은 조선 중기부터 세워지기 시작했는데, 1542년(중종 37년) 풍기군수(豊基郡守) 주세붕(週世鵬)이 안향(安..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전통민속관(傳統民俗館) 세시풍속과 전통생활문화를 한눈에... 조선시대 후기의 농촌생활상과 전통생활문화를 전시를 통해 선조들의 지혜가 녹아있는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전통민속관에서는 조선시대 후기 경기도 용인 땅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았던 4대 가..
초가(草家)-한국민속촌 초가(草家)는 볏짚,밀짚,갈대 등으로 지붕을 이은 집이다. 단열이 잘 되기 때문에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하지만 썩기 쉬워 한두 해마다 바꿔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초가는 선사 시대 집이 생겼을 때부터 짓기 시작해서 20세기 중반까지 한국의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선비집(士大夫家,사대부가) 이 가옥은 전형적인 선비 주택을 재현한 것으로 본채와 문간채, 재사, 초당, 사당 등의 부속건물을 고루 갖추고 있다. 본채를 ㅁ자로 지어 바깥쪽은 사랑채로 활용하고 안쪽은 안채로 활용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주택의 특징은 ..
진도민가(珍島民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이 가옥은 진도지방의 가옥을 재구성한 것으로 규모는 진도 지방의 중농가에 속하며 바람이 강한 섬 지역의 기후적 특성으로 육지에 비해 가옥이 낮은 편이다. 저장기능 및 신앙적기능을 수행하는 마래가 배치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각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의 효자문(孝子門), 백원문(百源門) 효자문(孝子門)은 정여(旌閭)라고도 하며, 효행이 뛰어난 사람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사람의 통행이 많은 위치에 세웠다. 이 문은 효자 이덕규(李德圭,1850~1900)의 효행을 기념한 정문(旌門)으로 1904년에 세워졌던 것이다. 효자문(..
남부지방 민가(南部地方 民家) - 한국민속촌 남부지방에서는 흔치 않은 ㄱ자형 안채와 남부지방 특유의 일(ㅡ)자형 아랫채가 혼합 구성된 민가 형식이다. 버들공예를 주업으로 하는 집이어서 대청이 넓고 공방이나 재료 저장고로 쓸 수 있는 방이 많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한국민속촌..
울릉도집(鬱陵島家)-울릉도 민가(鬱陵島 民家) 이 가옥은 울릉도의 가옥을 원형 그대로 옮겨온 것으로 부엌, 방, 곳간, 변소, 장독대가 모두 외벽으로 둘러싸이고, 사면봉당으로 공간이 연결된 일(ㅡ)자형 집이다. 겨울이 길고 비바람과 눈, 습기가 많은 이 지역 기후조건에 알맞게 내외 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