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 근대가 만난 덕수궁(德壽宮) 대한문(大韓門) 덕수궁의 정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多包系) 우진각지붕집이다. 원래 정전(正殿)인 덕수궁(德壽宮) 중화전(中和殿)의 정면에 있었던 것을 나중에 동쪽으로 옮긴 것이다. 1897년(광무 1) 고종이 명례궁(明禮宮)을 옛이름인 경운..
고종 황제의 생활공간,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 - 보물 제820호 함녕전은 고종 황제가 거처하던 임금님의 생활공간(침전)이다. 광무 1년(1897)에 지었는데 광무 8년(1904)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당시 함녕전의 온돌을 수리하고 이를 말리..
조선 후기 마지막 침전(寢殿),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은 고종 황제가 거처하던 생활공간(침전,寢殿)이다. 1897년(고종 34)에 지었는데 1904년(광무 8) 수리 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 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이곳은 순종 황제에게 왕위..
함녕전(咸寧殿)의 남쪽 대문 ‘광명문(光明門)’ 덕수궁의 광명문(光明門)은 침전인 함녕전(咸寧殿) 정문(남쪽 대문)이었는데, 1904년 화재로 함녕전이 소실되고 이 문만 남은 것을 1938년 석조전 서관을 증축하여 덕수궁미술관으로 개관하면서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내부에는 국보 제229호..
임금님의 생활공간인 덕수궁 함녕전 (德壽宮 咸寧殿) 함녕전은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임금님의 생활공간(침전)이다. 광무 1년(1897)에 지었는데 광무 8년(1904)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이곳은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뒤 1919년 1월 21일 고종황..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