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행궁 낙남헌(華城行宮 落南軒) 낙남헌은 일제강점기에 화성행궁이 철거될 당시 훼손당하지 않고 남아있는 건축물중 하나다. 낙남헌이란 이름은 후한의 광무제가 낙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궁궐 이름을 '남궁(南宮)'이라 한 것에서 따온 것으로 1794년(정조 18)에 완공되었다. 1795년(정조 1..
화성행궁 신풍교(華城行宮 新豊橋) 신풍교(新豐橋) 복원과정에서 발굴된 ‘신풍교자재’ 본 석재는 2007년 신풍교 주변을 발굴해서 나온 신풍교의 일부분이다. T자형 석재(우)는 어도와 일반 다리 부분의 경계선을 나타내면서 그 양옆에 상판석을 놓았던 부분이고, 다른 석재(좌)는 상..
화성행궁 노래당(華城行宮 老來堂) 화성행궁 노래당(華城行宮 老來堂) 노래당은 정조가 왕위에서 물러나 노후생활을 꿈꾸며 지었다는 건물로 낙남헌(落南軒)과 득중정(得中亭)에서 펼쳐지는 여러 행사 도중 휴식을 취하는 데 사용하였다. 화성 행궁의 정당인 봉수당에서 오른쪽으로 돌아..
화성행궁 느티나무 화성행궁 느티나무 화성행궁(華城行宮)의 느티나무는 600년 이상된 노거수로 화성 성역 이전부터 수원을 지켜온 신령스런 나무이다. 영목(靈木), 신목(神木), 규목(槻木)이라고 불려왔으며, 예로부터 잎이나 가지를 꺽으면 목신(木神)의 노여움을 사 어려움이 닥친다고 ..
화성행궁 하마비(華城行宮 下馬碑) 화성행궁 하마비(華城行宮 下馬碑) 이 비 앞으로 지나갈 때는 신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누구든지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의미의 표석으로서 주로 궁궐, 향교 또는 유명한 성인들의 사당 앞에 세워 경의를 표하였다. 수원에는 화성행궁, 화령전, 수원..
수원 화성행궁(사적 제478호) 우화관일대 발굴조사 현장 화성행궁(우화관)복원 안내문 이곳은 고종 33년(서기 1896년) 2월 15일 설립된 120년 역사와 전통을 지닌 신풍초등학교이다. 화성행궁(우화관) 2차 복원계획에 따라 2016년 2월 25일 졸업생을 마지막으로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227-4(광교신..
을묘년(乙卯年) 정조대왕(正祖大王)의 행복(幸福)한 수원행차(水原行次) 수원화성박물관에서는 ‘2017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9월 23~24일)을 기념해 2017년 9월 7일부터 10월 9일까지 ‘을묘년 정조대왕의 행복한 수원행차’를 주제로 전시회를 열었다. 이번 전시회에는 조선시대 국왕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화려하게 개막 "여민동락(與民同樂)의 길"을 주제로 열리는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가 2017년 9월 22일 저녁 수원 화성행궁 광장에서 막을 올렸다. 개막연은 22일 ‘화락(和樂)-지난 날이 부르고 다가올 날이 답한다’를 주제로 한 창작 뮤지컬이 130분 동안 펼쳐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