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문화마을관리원
-
원주김씨(原州金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5. 4. 04:06
원주김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우주 만물이 생긴 근원인 본체(本體) 태극문양 조각가 : 김복규 이 작품은 원주김씨 종기(宗旗) 중앙(中央)에 담긴 태극문양(太極紋樣) 마크를 무궁한 생명력을 의미(意味)하는 무궁화꽃으로 떠 받드는 형상(形象)을 조각화(彫刻化) 한 작품(作品)이다. 가로와 세로의 조화(造化)와 곡선(曲線)을 가(加)하여 우아한 형태로 표현(表現)하고자 했으며 전체적인 작품의 구성(構成)은 원주의 원자(原字)와 김씨의 김자(金字)를 따서 만들고 화강석과 고흥석의 색(色) 조화(調和)를 통해 변화(變化)를 주었다. 원주김씨(原州金氏) 유래 원주김씨는 범신라김씨의 원조(元祖) 대보공(大輔公) 휘(諱) 알지(閼智)의 27세손으로 신라 마지막 임금이신 경순왕(敬順王) 휘 부(傅)의 제팔자 일선군(..
-
하빈이씨(河濱李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5. 2. 04:06
하빈이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화합과 번영 조각가 : 변유복 외관형태 - 두 사람이 정답게 어깨동무하고 있다. 인체를 직선과 평면으로 해석하여 단순화된 변형을 시도하였다. 간결하면서도 함축성 잇는 현대적 표현 표현내용 - 서로 의지하며, 특히 화목한 인간상을 주안으로 하여 하빈이씨 대종회의 종훈(宗訓)이라 할 수 있는 효도(孝道) 화합(和合) 번영(繁榮)을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하빈이씨(河濱李氏) 유래 하빈이씨(河濱李氏)의 시조는 이거(李琚)이다. 고려 명종조(明宗朝)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역임하였으며, 추증된 시호는 문정(文貞)이고 나라에 공을 세워 하빈군(河濱君)으로 봉해졌다고 한다. 본관(本貫)은 하빈(河濱)이며, 그 장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이다. 시조의 손자는 이경(李瓊)이며 그의 호는 ..
-
언양김씨(彦陽金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4. 30. 04:09
언양김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번여(繁與) 조각가 : 성도형 신라 왕족의 후예임을 뜻하는 의미로 전체적인 형태는 왕관의 형상과 성씨 김(金) 자의 외형을 닮고 있다. 일곱 개의 기둥으로 구성된 작품은 언양김씨의 시조인 김선 언양군이 신라 경순왕의 일곱째 아들임을 뜻한다. 이는 언양김씨가 세상에 왕족임을 알리고 언양김씨 후손들이 시조가 누구인지 알며 왕족의 후손임을 깨달아 자긍심과 자부심을 가지고 살기 바라며 문중의 번영과 국가발전에 기여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언양김씨 연원비(彦陽金氏 淵源碑) 언양김씨의 시조(始祖)는 신라 경순대왕(敬順大王)의 일곱째 왕자(王子)이신 선(鐥)이시다. 신라 김 씨의 비조(鼻祖)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28세손인 경순대왕과 고려(高麗) 태조(太祖) 왕건(..
-
무주김씨(茂朱金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4. 29. 04:10
무주김씨(茂朱金氏)의 성씨 유래 무주김씨(茂朱金氏)는 조선 초기 고관(高官)의 씨족으로 충(忠)과 의(義)와 효행(孝行)의 전통이 빛나는 학자의 가문(家門)이다. 중시조(中始祖) 성(晟)은 고려 말 공민왕조에 등과하여 국자감 제주(祭酒)를 역임하였으며, 조선이 개국한 후 벼슬이 보문각 대제학(大提學)에 오르고 태종대왕으로부터 무주백(茂朱伯)에 봉(奉)해졌다. 이때부터 후손들이 무주(茂朱)를 본관(本貫)으로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世 생려(生麗)는 부제학(副堤學)에 올랐으며, 3世 규(葵)는 세종조에 예조판서를 거쳐 홍문관 대제학으로 대광원윤(大匡元允-크게 바르고 올바름의 으뜸)이란 칭예(稱譽)를 얻었다. 선지(善之)는 집현전 교리(校理)로 18학사와 함께 종사하며 문종으로부터 어린 단종의 뒷일을 부..
-
칠원윤씨(漆原尹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4. 28. 04:05
칠원윤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영원불멸 디자인 : 한국환경조각연구소 신동수 조각가 : 최덕호 작품은 한글 윤자와 칠원윤씨 마크를 착안하여 디자인하였으며, 조형물의 거센파도의 형상은 선조들의 업적과 후손들 미래의 번영을 이룩하고자 하는 문중의 상징적 형상이다. 칠원윤씨(漆原尹氏) 유래 칠원윤씨 시조는 신라 태자태사와 고명 원로를 지낸 태사공 시영(始榮)이시다. 아들 판태사국사공 황(璜) 이후 고려초 보윤호장(甫尹戶長) 칠제백(漆隄伯)을 지낸 거부(鉅富)가 중시조이고, 충의공 길보(吉甫)는 찬성사 수성직량공신구성군(龜城君)에 봉해졌으며 슬하에 오형제분이 칠원윤씨 오방파(五房派)의 파조인 충효공 환(桓), 대언공 자, 칠성군 장(樟), 사윤공 화(樺), 부원군 공(控)이며 후손들이 칠원에 정착 세거하면서 칠..
-
함평정씨(咸平鄭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4. 26. 04:10
함평정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조화와 번영 작가 : 안의종 작품의 상단 부분은 태양과 산, 들, 호수 등의 우주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간 부분의 몸통은 우주의 기(氣)를 이 땅의 후손에 내리는 것을 의미하며, 밑 부분은 후손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은 우주 속에서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면서 후손의 번영함을 뜻하고 있다. 함평정씨(咸平鄭氏) 시조의 유래 시조(始祖) 정언겸(鄭彦謙)께서는 신라 개국공신(新羅 開國功臣)이시며 육부촌장(六部村長) 중 진지촌장(珍支村長)이신 지백호(智佰虎)의 삼십팔세손(三十八世孫)이시다. 시조께서는 고려(高麗) 인종(仁宗) 때 병부상서(兵部尙書)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신 언겸(彦謙)이시다. 언겸(彦謙)은 1126년(인종 4년) 이자겸(李資謙)의 난(亂)이 일어나자 모..
-
부평이씨(富平李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4. 24. 04:11
부평이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합 작가 : 김형근 본 작품은 부평이씨 문중이 하나 되는 모습과 두 손 모아 문중을 받들어 모신다는 기본 개념에 기초하여 시각적으로 조형물의 위쪽 모아진 형상은 단결과 화합을 상징하면서 전체적으로 조상숭모의 효 정신을 드러내도록 제작되었음. 부평이씨(富平李氏) 유래 부평이씨는 장제군에서 수주(樹州)를 거쳐 부평부로 개칭된 계양산 일대에 본거지를 두고 옛 수안, 동성, 통진, 김포 등 네 개의 현을 통치한 호족 군장이신 이희목(李希穆)을 시조로 모시고 있다. 태조 왕건의 고려왕조 창업에 적극 협조한 공으로 태조는 공을 고려개국벽상공신(高麗開國壁上功臣)에 책봉하고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태사(太師)의 벼슬을 내렸다. 시호는 충민(忠敏)이시다. 시조 충민공의 증손인 문충공(文忠..
-
창원황씨(昌原黃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4. 23. 04:10
창원황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함께하는 아름다운 꿈 작가 : 예술창작조형연구소 이광재 조상의 과거, 현재, 미래를 조형적 언어로 표현하고 과거를 성찰하며 미래지향적인 뜻임. 그리고 상단 연결부의 뜻은 화합, 단결, 오랜 역사성을 나타냄. 창원황씨(昌原黃氏)의 유래 황씨의 도시조(都始祖)인 휘(諱) 낙(洛)께서는 후한(後漢)의 학사로 광무제(光武帝) 건무(建武) 4년(신라 유리왕 5년) 교지국(交趾國, 현 베트남)에 사신으로 가시던 중 경북 울진군 평해 앞바다에 표착되어 월송봉 남단에 정착하시었다. 학사공 휘 낙께서 삼 형제를 두시니 첫째 휘 갑고(甲古)께서는 기성군으로 평해황씨의 시관조가 되시고 둘째 휘 을고(乙古)께서는 장수군으로 장수황씨의 시관조이며, 셋째 휘 병고(丙古)께서는 신라 유리왕 12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