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문화마을관리원
-
원주변씨(原州邊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4. 04:05
원주변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석종 작가 : 김일환 본 작품은 고려의 충신이고 불의에 굴하지 아니하고, 충절을 지키시다 순절하신 원주변씨 시조이신 변안열 장군의 호국정신과 충절의 정신을 근원으로 하여 음관을 통하여 후손들과 세상에 널리 전파한다는 뜻으로 작품을 석종으로 형상화하였다. 변안열 장군은 나라를 위한 충정심이 남달랐던 정신을 후손들이 알고 자긍심과 존경심을 갖도록 형상화했다. 종 위, 아래에는 당초 문양으로 표현하고 종 하단부에는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꽃 무궁화를 비구상으로 동서남북 사방에 넣어서 후손들의 화합을 형상화하였다. 음관은 변안열 장군의 충절을 상징하는 대나무를 애석으로 형상화하고 고려종의 특징인 종 후면에는 비천사 문양을 형상화하였다. 원주변씨 유래(原州邊氏 由來) 원주변씨는 본래 ..
-
광주반씨(光州潘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3. 04:05
광주반씨(光州潘氏) 유래 반씨(潘氏)는 주(周) 문왕의 손자 계손(季孫)이 반 땅에 봉(封)해져 그 지명을 따 반(潘)씨 성이 유래되었다. 계손의 후손 부(阜)께서는 송나라 이부상서로 원(元)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볼모로 온 고려 세자(충렬왕)을 만나 인연으로 제국대장공주를 모시고 고려에 귀화해 문하시중에 오르시고, 충렬왕은 그의 공로를 높이 평가 기성(岐城) 부원군에 봉하고 거제를 식읍으로 하사하셨다. 시호는 문절(文節)이시며 기성반씨 시조이시다. 유항(有抗)공 예부상서, 영원(永源)공 밀직상서, 익순(益淳)공 우시중, 복해(福海)공 광록대부, 문하찬성사, 추충량절익대좌명보리공신, 제성부원군에 훈봉. 자건(自建)공은 고려 평장사, 이조판서, 좌찬성, 영평군에 훈봉 공신세족으로 빛났다. 고려 공조전서 충..
-
청산정씨(靑山鄭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2. 04:05
청산정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미래로의 번영 작가 : ch조형연구소 천종권, 박대규 조선 개국공신인 정금강(鄭錦綱) 원조와 중시조 1세 정운결(鄭雲潔), 정유항(鄭惟恒)의 역사성을 배경으로 신의와 절개, 기상과 기백을 표현하고자 했다. 작품의 수직과 곡선형태는 문, 무관의 기상을 담고자 했으며, 문중의 위상과 기개를 초석 삼아 화합과 단결을 뜻하여 원형구(圓形球)로 형상화했다. 청산정씨(靑山鄭氏) 유래 청산정씨는 조선 개국공신이시며, 의정부 좌의정을 역임하시고, 청산부원군에 봉군되시어 정원공의 시호를 받으신 정금강(鄭錦綱)을 시조로 하고 있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본관을 청산(靑山)으로 하였다. 그후 선계가 실전되어 사헌부 대사헌을 역임하신 정운결(鄭雲潔)을 대사헌공파 중시조 1세조로, 병조참의를 역임하..
-
수원김씨(水原金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1. 04:04
수원김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하나되어… 작가 : 이광재 상부 조형물은 어머니의 따뜻한 마음과 사랑으로 인류를 포용하고, 하부 조형물은 두 손 모아 충효의 정신을 받들어 공경한다는 뜻으로 전체적으로 하나가 되도록 구상하였음. 수원김씨(水原金氏) 유래 수원김씨의 시조는 신라 경순왕의 증손 소보공(少保公)으로 휘(諱)는 품언(稟言)공(公)이시다. 할아버지는 경순왕의 넷째 아들인 대안군(大安君)으로 휘는 은열(殷說)이시고, 아버지는 봉어(奉御)공(公)으로 휘는 렴(濂)이시다. 시조 품언(稟言)공(公)은 태자소보(太子少保) 평장사(平章事)로 고려 현종 9년(서기 1018년) 거란군이 대거 침입할 때 상원수로 출전하여 이를 대파한 여덟 장수 중 한 사람으로 개선할 때 왕이 영파역(迎波驛)에 나와 환영, 위로하고..
-
청주경씨(淸州慶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5. 31. 04:05
청주경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화합과 번영의 노래 청주경씨 문중의 강직한 성품을 내명의 직선으로 상징화하고, 화목한 문중의 아름다운 마음들을 외부의 흐르는 듯 감싸 안은 유연한 선의 흐름으로 형상화한 작품으로 서로 조화롭게 화합하는 문중의 기운이 상승 발화하여 번창하기를 기원하며 노래하는 모습의 조형상이다. 청주경씨(淸州慶氏)의 유래 청주경씨는 羅末麗初(나말여초)에 청주의 유력한 豪族(호족)으로 세거하여 왔음을 청주 용두사지 철당기의 기록으로 알 수 있으며 경씨가 고려초 청주의 土姓(토성)으로 분정되어 있음을 세종실록지리지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로부터 수백 년간 史實(사실)과 年代(연대)가 역사에 빠져 있어 상고할 수가 없으며 고려의 종조에 청주사심관을 거쳐 명종조에 匡靖大夫中書侍郞平章事(광정대부..
-
화순최씨(和順崔氏), 오산군 세기(烏山君 世基)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5. 28. 04:05
화순최씨(和順崔氏) - 시조 오산군(烏山君 諱 世基) 최씨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몇몇 성씨 가운데 하나이다. 고려 전기 평장사 문하시중을 역임하신 시조(始祖) 휘 세기(世基)께서 인종 4년(서기 1126년) 5월 오산군(烏山君 : 화순의 옛 이름인 烏城, 山陽의 머리글자를 취합함)에 봉해져 왕권 확립을 위한 남도 안찰사로 화순읍 갱정 마을에 입향, 일문을 이룸으로써 우리를 화순 또는 오산최씨(烏山崔氏)라 부르게 되었다. 이 세거지에서 삼정승 팔판서를 배출하였다 하여 만연산 아래의 마을을 팔판동(八判洞)이라 부르고 이 마을의 한 우물을 우리 조상들이 고향을 떠날 때 “다시 돌아와 이 물을 마시겠다.”라고 하여 갱래정(更來井), 한림정(翰林井) 또는 최씨 우물이라 부르게 되었으니 한고을 작은 우물에 서..
-
함종어씨(咸從魚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5. 26. 04:04
함종어씨(咸從魚氏) 유래 시조 호장동정(戶長同正)공 화인(化仁)은 고려 명종 때 남송(南宋)에서 강릉을 거쳐 평안도 함종현에 정착하니 함종(咸從)이 어씨의 본관이 되다. 문정공, 양숙공, 현감공, 훈도공, 낭선공, 사직공, 한종공, 한위공 8개파는 진주에 세거한 7세 준량(遵亮)의 후예이며, 부정공파는 강릉에 세거한 3세 진승(振升)의 6대손 서운관 부정 덕상(德常)의 후예이다. 함종 어문을 대표할 인물과 행적으로 9세 백유(伯游) 연(淵) 변갑(變甲) 3대가 시묘를 한 효행은 순효지문의 표상이며, 집현전 직제학 변갑(變甲)은 중흥조로 조선 성리학 발전의 초석이 되고 이조판서 문효공 효첨(孝瞻)은 풍수소(風水疏)를 지었다. 함종부원군 문정공 세겸(世謙)은 좌의정과 양관대제학을 양숙공 세공(世恭)은 호조판..
-
화순최씨(和順崔氏), 최부(崔溥)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5. 25. 04:08
화순최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행복의 기원 작가 : 김석우 하늘을 향해 우뚝 선 형상을 인간화하여 명문 거족의 끝없는 발전과 번영을 염원하는 마을을 함축적으로 담아 화순최씨를 표현하였다. 하단부는 현대적 조형미를 기하학적 구조를 통해 경쾌하게 표현하였다. 전통을 이어받아 한마음 한뜻으로 화합하는 가문의 저력과 원천임을 암시하고자 하였다. 뿌리를 상징하는 단단함과 큰 덩어리의 석조물은 역동적인 힘과 결속력으로 위상을 드높이고 자손 번창을 통해 면면히 맥을 이어가려는 계승 의지를 상단에 담고 있다. 예술적 의도로 인간의 기원이 담긴 독창적이고 힘이 넘치는 거석을 통해 생명, 영혼, 마음을 피어 오르게 한 것이다. 화순최씨(和順崔氏)의 유래 화순최씨 시조(始祖) 최부(崔溥)는 인재를 양성하여 몽고 침략에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