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황산 표충사(天皇山 表忠寺) 표충사는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었다. 신라 무열왕(武烈王) 원년(654) 봄에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지금의 극락암(極樂庵) 자리에 작은 암자를 짓고 수도하던 중, 어느 날 아침 재약산 기슭을 바라보니 대밭 속에서 오색의 상서로운 구름이 떠올랐다. 원효는 곧..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密陽 表忠寺 三層石塔) 이 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7.7m의 3층석탑이다. 탑 앞에는 같은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석등이 있으나 이 곳은 탑과 석등이 놓였던 원래의 위치가 아닌 듯하다. 표충사의 원래 이름은 죽림사(竹林寺)인데 ..
팔공산 동화사(八公山 桐華寺)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이다. 493년(소지왕 15) 극달(極達)이 창건하여 유가사(瑜伽寺)라 하였다. 그 뒤 832년(흥덕왕 7) 왕사 심지(心地)가 중창하였는데, 그 때가 겨울철임에도 절 주위에 오동나무꽃이 만발하였으므로 동화사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그러..
대구 동화사 당간지주(大邱 桐華寺 幢竿支柱)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의 입구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幢竿支柱)라 한다. 높이 3.1m의 당간지주는 두 기둥이 66㎝의 간격..
동화사(桐華寺)의 상징, 심지대사(心地大師)나무 위치: 동화사 대웅전 뒤뜰 서편 수종: 오동나무(현삼과, Paulownia coreana Uyeki) 나무와 연관되는 인물: 심지대사(心地大師) 심지대사(心地大師)는 신라 제41대 헌덕왕(憲德王)의 아들로서 15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어 불교에 정진하였으며, 팔공..
안면도꽃지 할미 할아비 바위 지금으로부터 약 1,200년 전인 신라의 흥덕왕(興德王; 재위 826~836) 때였다. 당시 바다를 주름 잡고 있던 장보고(張保皐; ?~846)는 청해진(靑海鎭; 지금의 전라남도 완도)에 거점을 정하고 해상 활동을 펴나가는 동시에 서해안의 견승포(지금의 안면도)에도 해상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