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탑골공원의 석재유구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4. 5. 8. 04:00
탑골공원의 석재유구
탑골공원 내에 모아둔 여러 석물들은 이 일대의 도시개발과정에서 출토되었던 부재들이다.
이중 대리석(大理石)으로 된 인물상(3점)은 원각사탑(圓覺寺塔)의 주위를 호위하던
신장상(神將像)이나 보살상(菩薩像)으로 추정되고, 연화문(蓮花紋)이 새겨진 난간석(欄干石)은
원각사 탑 외곽을 둘린 부재가 아닌가 여겨진다.
‘복청교(福淸橋)’라고 음각된 교명주(橋名柱)가 보이는데,
복청교는 원래 교보문고 뒷편인 광화문우체국 북측지점에 있었던 혜정교(惠政橋)인데,
탐관오리(貪官汚吏)를 공개적으로 처형하던 다리로서 중학천(中學川)이
청계천(淸溪川)으로 합류하기 전의 중학천 하류에 걸쳐져 있었다.
일제강점기하(1926년)에 혜정교를 개축하면서,
다리 이름을 ‘복청교’라고 새로이 개명(改名)하면서 만든 교명주로 보인다.
나머지의 여러 석재들은 도성(都城) 내에 가설되어 있었던
옛 돌다리의 부재(귀틀석 16점, 멍에석 1점, 엄지기둥 1점 등)들이 대부분이다.
현재 이곳에 모아둔 각종 석물들은 출처를 정확히 알 수 없는 형편이나,
전통 석조물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99 (종로 2가) 탑골공원 =
1721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태가 특이하고 훌륭한 걸작품,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 (0) 2014.05.10 금남지역(禁男地域), 운현궁 이로당(雲峴宮 二老堂) (0) 2014.05.09 운현궁(雲峴宮) 수직사(守直舍) (0) 2014.05.06 위급한 상황을 알려주던 보신각터(普信閣址) (0) 2014.05.01 제천(堤川) 의림지(義林池)의 영호정(暎湖亭) (0) 201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