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MZ 제3 땅굴(The 3rd Tunnel)국내 나들이/안보 현장(安保 現場) 2014. 6. 24. 06:04
제3 땅굴(The 3rd Tunnel)
제3 땅굴은 서울에서 불과 44km 거리에 있으며, 규모는 폭 2m, 높이 2m로 지하평균 깊이 73m로
총길이 1,635m를 굴착 남쪽(군사분계선에서 남쪽으로 435m)으로는 5갈래로 나누어진
출구를 내고 전술능력은 1시간당 3만명의 병력이 통과할수 있다.
제 3땅굴은 귀순한 김부성씨의 땅굴 공사 첩보를 근거로 1975년부터 문산 지역에 대한 시추작업을 하였으나
땅굴 징후를 포착하지 못하다가 1978년 6월 10일 시추공 중 1개가 폭발함으로서 역갱도 굴착 공사를 실시,
1978년 10월 17일 적 갱도에 관통하여 판문점 남방 4km 지점에서 발견되었다.
이 땅굴은 그 위치가 서울에서 불과 44km 거리에 있었기 때문에 규모면에서는 제 2땅굴과 비슷하나
서울로 침투하는데 있어서는 제 1.2땅굴보다 훨씬 위협적인 것으로 평가 되었다.
임진각에서 서북쪽으로 4Km, 통일촌 민가에서 3.5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서울에서 승용차로 45분이면 도달할수 있는 거리이며 문산까지의 거리는 12km다.
DMZ(De Militarized Zone)란 군사적 비무장지대(非武裝地臺)를 뜻한다.
군사적 직접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하자고 설정한 완충지대로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으로부터 남북이 각기 각 2㎞씩 후퇴한 완충지대다.
참고로 북한의 땅굴은 1974년 11월 15일 경기도 연천(제1땅굴)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1975년 3월 강원도 철원군 근동면 제2 땅굴, 1978년 10월 경기도 파주 제3 땅굴이 우리 군에 의해 드러났다.
또한 1990년 3월 3일 강원도 양구 동북방 26km 지점 비무장지대 안에서 제4 땅굴이 발견되기도 했다.
=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점원리 =
1917 '국내 나들이 > 안보 현장(安保 現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도 함상전망대(해양경찰 경비함 262함) (0) 2014.07.20 지구상 그 어디에도 없는 특별한 땅을 찾아가는 '평화열차 DMZ-트레인' (0) 2014.06.27 분단의 끝, 통일의 시작, 도라전망대(都羅展望臺) (0) 2014.06.23 프랑스군 참전기념비(佛軍 參戰記念碑),AUX COMBATTANTS FRANCAIS DE LA GUERRE DE COREE (0) 2014.02.10 화약냄새가 매화향기(梅香) 그윽한 곳으로...“화성 매향리 평화마을(華城 梅香里 平和村)” (0) 2013.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