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광사(松廣寺) 영산전(靈山殿)과 약사전(藥師殿)국내 나들이/사찰(寺刹), 불교(佛敎) 2014. 12. 1. 04:11
송광사(松廣寺) 영산전(靈山殿)과 약사전(藥師殿)
조계산에 있는 송광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매우 유서 깊은 절이다.
‘송광(松廣)’이라는 절 이름은 조계산의 옛 이름인 송광산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절을 언제 세웠는지는 정확한 자료가 없어 알 수 없다.
절의 기록에 이 건물은 조선 인조 17년(1639)에 세웠고 영조 12년(1736)에 수리하였다고 한다.
송광사 영산전(松廣寺 靈山殿)-보물 제303호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건물에 사용한 부재의 세부 기법이 힘차고 간결하여 조선 전기 건물의 기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좁은 자리에 아담한 규모로 세운 소박한 건물이다. 지금의 건물은 조선 인조 17년(1639년)에 창건되었다.
송광사 영산전에는 영취산에 거주하며 법화경을 설하고 있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시고 있으며,
보물 1363호로 지정되어 있는 후불탱(後佛幀)인 영산회상의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대회탱과
석가모니부처님의 생애를 8단계로 나누어 그린 팔상탱(八相幀)이 있다.
송광사 영산전(松廣寺 靈山殿)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 303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송광사 약사전(松廣寺 藥師殿)-보물 제302호
약사전은 송광사 경내에서 가장 규모가 작고 위치도 넓은 중정마당의 모퉁이에 치우쳐 있지만 지은지 오래되었고
대들보가 없는 특이한 구조인 까닭에 건축적으로는 보물로 지정될 정도로 비교적 중요한 건물이다.
원래는 약사전의 4면을 용화당과 심검당 등의 전각들이 둘러싸고 있었으나
현재는 대웅전에서 보아 앞마당의 좌측 모서리 부분에 영산전과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소위 가람배치형식으로 보면 중단에 해당하는 위치이고 대웅전과 같은 서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4면을 모두 한 칸씩으로 구성하여 평면이 정방형으로 되어 있는 송광사에서 가장 작은 규모의 다포계 건축물이다.
장대석으로 쌓은 한 단의 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배흘림이 약한 4개의 원주를 세웠다.
마치 우물을 짜듯 기둥머리에는 창방을 건너지르고 그 위에 평방을 얹고 이방(耳枋)을 놓은 다음 귀공포를 두었다.
건물의 규모에 비교하면 기둥이나 평방과 같은 부재들은 굵직한 재목을 사용하고 있다.
처마 밑을 받친 공포는 이출목이면서도 앙서(仰舌)의 수를 3개로 하여 전체 모습이 장중한 느낌을 준다.
1,2,3제공까지는 앙서형으로 강직하고 간결하며 4제공은 연봉으로 장식하였다.
단칸규모인 탓에 내부구성이 구조적으로 잘 처리되었다.
내부에서 공포는 삼출목이 되는데 네 모서리의 귀살미에서 연장되는 부재가
내부중앙에서 정(井)자와 X자가 교차된 모양으로 짜맞추어져
외부 사방으로 빠지는 추녀가 힘차게 돌출할 수 있도록 안에서 단단히 매달아 주고있다.
이런 탓에 천장이 공포로 가득한 느낌을 준다.
또 대들보를 사용하지 않고 공포와 도리만으로 가구한 건물이므로
내부를 앙시할 때 첨차와 제공이 이루는 가구미가 건실함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무량구조는 1칸짜리의 조그마한 건물에서 간혹 쓰이는 수법이다.
전면에는 4분합의 띠살문을 달아 전면을 개방하였고,
측면에도 따로 띠살무늬 외짝의 출입문을 냈으며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다.
공포의 쇠서 위에 연(蓮)봉오리를 새겨서 장식한 것이나
창방의 조각적인 수법을 보면 조선중기 이후의 건물로 추정할 수 있겠다.
1997년도의 중수 때 발견된 도리 묵서 상량문에 의하면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 시 승도들이 남한산성으로 출전한 후
화재로 영산전, 무운료, 해청당과 함께 소실되었고, 1640년(숭정13)에 중건하였다.
또한 사중 기록에 의하면 영조 27년(1751), 정조 22년(1798), 1974년, 1997년에 중수했다.
내부에는 주생들의 모든 질병을 고쳐주는 부처님인 단아한 약사여래좌상을 봉안했는데,
목조로 이 전각이 중건되었던 인조 18년(1640)에 새로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후불탱은 본래 1904년에 조성하여 감로암(甘露庵)에 있던 후불탱(後佛幀)이며, 현재는 경내 박물관으로 이안되었다.
송광사 약사전(松廣寺 藥師殿)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 302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신평리) 대한불교조계종 조계총림 송광사 =
2420 '국내 나들이 > 사찰(寺刹), 불교(佛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광사 침계루松廣寺 枕溪樓) (0) 2014.12.02 송광사 승보전(松廣寺 僧寶殿) (0) 2014.12.01 순천 송광사(順天 松廣寺) (0) 2014.12.01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順天 松廣寺 塑造四天王像) (0) 2014.11.30 송광사 비사리구시 (0) 2014.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