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금성(權金城)의 다람쥐자연과 함께/동물(動物) 2015. 6. 22. 23:00
권금성(權金城)의 다람쥐
다람쥐과에 속하는 동물. 날다람쥐· 다람쥐· 하늘다람쥐를 총칭하는 말이나,
보통은 학명이 Tamias sibiricus asiaticus GMELIN인 다람쥐를 가리킨다.
한자어로는 율서(栗鼠)·산서(山鼠)·송서(松鼠)·화서(花鼠)라고 한다.
꼬리는 짧고, 털이 붓과 같이 밀생되어 있으며, 편평하다.
뺨 속의 주머니는 잘 발달되어 먹이를 운반하기에 알맞고,
눈은 크고 흑색이며, 귀는 짧고, 등 뒤에는 5개의 암흑색 줄무늬가 있다.
이마와 머리의 윗부분은 갈색을 띤 육계색(肉桂色)이다.
눈썹 위에는 코끝에서 시작한 흰 줄무늬가 있고, 뺨에서 귀밑까지도 흰 줄무늬가 있다.
몸의 아랫부분은 깨끗한 백색이다.
우리 나라의 어느 지방에서나 볼 수 있는 동물로 주된 서식지는
울창한 침엽수림이며, 활엽수림 또는 암석이 많은 돌담 같은 곳에서도 산다.
땅속에 굴을 파고 보금자리를 만들며, 보금자리에 가까운 곳에 1, 2개의 식물저장창고를 만들어서
보금자리와의 통로를 통하여 자유롭게 다니는데, 낮에만 활동한다.
도토리· 밤· 땅콩을 잘 먹는데, 잣나무들의 종자와 옥수수·호박·오이·수박의 종자도 잘 먹는다.
또, 농작물의 어린 싹을 잘라먹기 때문에 산림 부근의 채소재배지나 땅콩경작지에서는 큰 피해를 받고 있다.
늦은 가을에는 식물저장창고에 열매를 저장하여 월동준비를 하는데,
뺨주머니를 이용하여 한 번에 5∼8g씩 운반한다.
9월 하순경 평균기온이 8∼10℃가 되면 겨울잠을 자기 시작하는데 완전한 겨울잠은 아니고,
바깥의 기온이 높아지면 깨어나, 저장하였던 먹이를 먹고 다시 잠을 자는 반수면상태의 겨울잠이다.
3월 중순경 겨울잠에서 깨어난 다람쥐는 곧 교미하기 시작한다.
1년에 2회에 걸쳐 번식하며, 임신기간은 24, 25일이고, 1회에 낳는 새끼는 4∼8마리이다.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다람쥐는 작고 저 혼자 노는 동물로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힘에 겹고 거추장스러움을 보일 때 ‘다람쥐 계집 얻은 것’이라는 속담을 쓰고,
같은 과정을 반복하고 발전이 없을 때는 ‘다람쥐 쳇바퀴 돌듯한다.’고 한다.
“산골짝에 다람쥐”라는 동요도 작고 귀여운 다람쥐의 모습을 노래로 지은 것이다.
권금성(權金城)
권금성(權金城)은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雪嶽洞)의 산석(山石) 위에 있는 옛 성으로,
고려 때 축성된 산성으로서 설악산성(雪嶽山城),옹금산성(擁金山城), 토토성(土土城)으로 불리기도 한다.
설악산의 주봉인 대청봉에서 북쪽으로 뻗은 화채능선 정상부와 북쪽 산 끝을 에워싸고 있는
천연의 암벽 요새지이나 현재 성벽은 거의 허물어졌고 터만 남아 있다.
이 산성의 정확한 초축 연대는 확인할 수 없으나, “낙산사기”에 고려 말 몽고가 침입했을 때
인근 주민들이 이곳에 성을 쌓고 피란했다고 설명하고 있음에서 그 이전부터 존속해오던 산성임을 알 수 있다.
또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신라 때 권(權)·김(金)의 성을 가진 두 장군이난을 피하기 위하여 쌓았다고 하여
권금성(權金城)이라 불렀다는 전설을 소개하고 있다.
3030 '자연과 함께 > 동물(動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로(白鷺)의 모성 (0) 2017.06.04 모성(母性)이 가득한 제비 (0) 2017.06.03 해치(해태) - 獬廌·獬豸 (0) 2014.01.19 초롱초롱, 반짝반짝 고양이의 (0) 2013.09.30 물오리 가족 (0) 2013.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