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洛山寺 海水觀音空中舍利塔.碑)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5. 7. 2. 23:00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洛山寺 海水觀音空中舍利塔.碑)
1692년 비구 석겸(釋謙) 등이 큰 뜻을 세우고 조성한 사리탑이다.
1683년(숙종 9년) 홍련암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할 때 주변에 상서로운 기운이 가득하더니
공중에서 사리가 탁상 위로 떨어져 이를 봉안하기 위해 세웠다고 한다.
탑은 8각원당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탑신과 상륜(相輪)은 원구형(圓球形)이다.
기단부의 상대석 중대석 하대석에는 각각 다양한 문양을,
탑신부의 아래쪽에는 연꽃을 새겼으며 옥개석(屋蓋石)과 상륜부는 통돌로 되어 있다.
2006년 해수관음공중사리탑을 해체 복원하는 과정에서 진신 사리와 장엄구가 발견되었으며
홍련암으로 가는 입구에는 사리탑의 유래를 새겨 넣은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가 있다.
2011년 11월 1일 보물 제1723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산5-2 대한불교조계종 낙산사 =
홍련암으로 가는 입구에는 사리탑의 유래를 새겨 넣은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공중사리탑비의 지은이는 이현석(李玄錫, 1647∼1703)이며, 갑술년(甲戌年, 1694)에 제작되었다.
그는 강원도 관찰사를 지냈으며, 중앙 정계에서도 오랫동안 활약한 조선시대 후기 문신이다.
공중사리탑비의 내용은 낙산사가 위치한 관동지방의 아름다운 경치에 대한 찬탄, 낙산사의 위상과 관음신앙에 얽힌 영험,
공중에서 사리가 나타난 이적, 사리영험에 대한 견해, 공중사리탑 건립에 관한 기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불사리의 존재와 신앙, 사리장엄구와 공중사리탑이 만들어진 경위에 대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루드베키아(Rudbeckia)-원추천인국
루드베키아(Rudbeckia)는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식물로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두상화의 중심에 있는 짙은 자주색 부분이 원추형이기 때문에 원추천인국(Rudbeckia bicolor Nutt.)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또한 속명을 이름 삼아서 루드베키아(rudbeckia)라고도 흔히 부른다.
우리나라에는 1959년에 처음 도입되었고, 현재 전국의 도로변에서 무척 흔하게 볼 수 있다.
3053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산사(洛山寺)의 백미(白眉), 낙산사 의상대(洛山寺 義湘臺) (0) 2015.07.05 신흥사 극락보전(新興寺 極樂寶殿) (0) 2015.07.04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南陽州 水鐘寺 八角五層石塔)과 부도(浮屠) (0) 2015.06.30 월정사 팔각구층석탑(月精寺 八角九層石塔)-국보 제48호 (0) 2015.06.26 신흥사 보제루(新興寺 普濟樓)-강원도 속초시 (0) 2015.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