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산사(洛山寺)의 백미(白眉), 낙산사 의상대(洛山寺 義湘臺)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5. 7. 5. 05:30
낙산사(洛山寺)의 백미(白眉), 낙산사 의상대(洛山寺 義湘臺)
낙산사 의상대(洛山寺 義湘臺)는 송강 정철(松江 鄭澈,1536~1593)의 “관동별곡(關東別曲)”에 소개된
관동8경(關東八景) 가운데 하나로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義湘大師)가671년(문무왕11년) 낙산사를 창건할 때,
이곳에서 좌선(坐禪)한 것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이다.
1925년 당시 주지 만옹스님이 건립하였고, 만해스님이 의상대기를 지었다.
이후 수차례 중수를 거듭하였으며 2009년 9월 해체복원 하였다.
육각형의 정자로 이익공(二翼工, 참조1) 양식의 공포(栱包, 貢包 참조2)에 겹치마 모임지붕으로
상부에 화강암 절병통(節甁桶, 참조3)을 올렸다.
주변의 해송(海松)과 암벽, 그리고 동해바다가 어우러진 동해안의 대표적인 해안정자로
의상대에서 맞는 일출경(日出景)은 낙산사의 백미(白眉)이다.
의상대는 1974년 9월 9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되었다.
안타까운 것은 이곳 주변의 주요 경관이었던 낙락장송이
2005년 강원지역의 큰 산불로 인해 소실되어 경관이 많이 훼손되어 있다.
1. 익공(翼工): 공포의 구조형식인 주심포(柱心包), 다포(多包), 익공(翼工)계의 세가지 형식 중
구조적으로 가장 간결하게 꾸며진 형식. 이익공(二翼工)은 익공이 2개인 양식
2. 공포(栱包, 貢包):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3. 절병통(節甁桶): 궁전. 사모 정자. 육모 정자. 팔모 정자 따위의 지붕마루 가운데에 세우는
기와로 된 항아리 모양의 장식
=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로 100 (전진리) 낙산사 =
鐵雲趙宗玄大禪師時調碑(철운조종현대선사시조비)
의상대 해돋이
천지 개벽이야
눈이 번쩍 뜨인다
불덩이가 솟는구나
가슴이 용솟음친다.
여보게
저것좀 보아
후끈하지 않은가.
3057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동읍성(喬桐邑城) - 교동도 (0) 2015.08.03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浦項 寶鏡寺 五層石塔) (0) 2015.08.01 신흥사 극락보전(新興寺 極樂寶殿) (0) 2015.07.04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洛山寺 海水觀音空中舍利塔.碑) (0) 2015.07.02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南陽州 水鐘寺 八角五層石塔)과 부도(浮屠) (0) 201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