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 화성(水原 華城)의 가을수원사랑/수원화성(水原華城) 2015. 10. 26. 23:00
수원 화성(水原 華城)의 가을
만추(晩秋)의 수원 화성(水原 華城)
수원 화성(水原 華城)
수원 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의 근절과 강력한 왕도 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 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 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수원 화성은 길이 5.4km의 석성으로 정약용이 동 · 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 을 지침서로 하여,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 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년 1월에 착공에 들어가 1796년 9월에 완공하였다.
축성 때 거중기, 녹로 등 새로운 기계를 특수하게 고안·사용하여 장대한 석재 등을 옮기며 쌓는 데 이용하였다.
수원 화성은 축조 이후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한국 전쟁을 겪으면서 성곽의 일부가 파손되고 손실되었으나
축성 직후 발간된 "화성성역의궤" 에 의거하여 대부분 축성 당시 모습대로 보수 ·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축성의 동기가 군사적 목적보다는 정치·경제적 측면과 부모에 대한 효심으로 성곽 자체가 효 사상이라는
동양의 철학을 담고 있어 문화적 가치 외에 정신적, 철학적 가치를 가지는 성이다.
또한, 중국이나 일본 등지에서 찾아볼 수 없는 평산성의 형태로 군사적 방어 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함께 보유하고 있고,
시설의 기능이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는 동양 성곽의 백미라 할 수 있다.
현재 수원 화성은 사적 제3호(1963년 1월 21일)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3332 '수원사랑 > 수원화성(水原華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 방화수류정(水原 訪花隨柳亭)..보물 제1709호 (0) 2015.11.07 거중기(擧重器) (0) 2015.10.27 수원화성 조형물 (0) 2015.08.25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화홍문(華虹門)과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 (0) 2015.04.24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수원화성(水原華城) 북포루(北鋪樓) (0) 201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