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귀진지(西歸鎭址)
    국내 나들이/제주도(濟州道) 2015. 11. 18. 22:30

    서귀진지(西歸鎭址)

     

    서귀진(西歸鎭)은 조선시대 제주 방어시설인 3성 9진 가운데 서귀포 지역의 방어를 담당하던 유적이다.

    서귀진은 목사 한승순(韓承舜)이 잦은 왜구의 침략에 대비코자 1439년(세종 21년) 천지연 상류 홍로천 위에 성을 쌓았다.

    이후 목사 이옥(李沃)이 1589년(선조 22년)부터 1592년(선조 25년)사이에 현재의 장소로 옮겨 쌓았다.

     “탐라지초본(耽羅誌草本)”(1842년)을 보면, 정방연(正房淵)에서 이곳까지 수로를 파서

    물을 끌여들여 저장하였고, 남은 물은 주변에서 농사를 짓도록 하였다.

    2010년 발굴조사 과정에서 수로와 우물 유구가 확인되어 2013년에 수리하였다.

    “남천록(南遷錄)”(1873년)에 따르면, 서귀진은 성곽 규모가 둘레 233m, 높이 2.8m이고,

    동서에 두 개의 성문과 객사, 무기고, 군관청, 창고 등 11동의 건물이 있었다.

    또 “탐라순력도(1702년)”, “서귀조점(西歸操點)”에 당시 성곽 모습이 잘 나와 있다.

    1901년 서귀진성이 폐지된 이후, 관아 건물은 정의공립보통학교, 서귀공립심상소학교 등으로 개조되어 사용되었고,

    4.3사건 때는 마을을 방어하기 위해 성곽을 헐어내어 4.3성을 쌓는데 이용되었다.

    이후에는 집의 울타리나 밭담으로 활용되면서 대부분 훼손되었다.

    2000년 11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지정문화재(기념물 제55호)로 지정된 서귀진지는 이후 부지 등을 매입하여

    2013년 서귀진 사적화사업에 따라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솔동산로 22번길 (서귀동) =

     

     

     

     

     

     

     

     

     

     

     

    서귀진(西歸鎭) 집수정(集水井) 및 수로(水路)

     

    서귀진 집수정은 축성 당시 성에 주둔하는 병사들의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수로는 정방폭포 상류에 있는 정모시(正毛淵)에서 물을 끌어다 쓰기 위해 만들어 놓은 물길을 말한다.

    성 동쪽 아래로 구멍을 뚫어 집수정까지 물을 끌어다 썼는데,

    사용하다 남은 물은 성 서쪽 밖으로 내보내어 논농사를 짓도록 하였다.

    2010년 서귀진 2차 발굴조사 때 확인된 집수정은 바닥이 목조로 조립되어 있었고, 수로는 잡석을 쌓아 만들었다.

    서귀포시는 2013년 서귀진 터를 정비하고 수로 일부를 수리하며 발굴조사 때 확인된 집수정을

    원형 그대로 남겨두고 그 위에 83cm 두께의 흙을 덮고 나서 모형을 만들었다.

     

     

     

    객사 건물 추정지

     

    이곳은 2009년 12월 29일부터 2010년 2월 16일까지 실시한 서귀진지 1차 발굴조사 당시 확인된 조선시대 건물지로서

    "탐라순력도"에 따르면 서귀진 객사 건물지로 추정되고 있다.

     

     

    라순력도(耽羅巡歷圖)-서귀조점(西歸操點), 1702년

     

     

     

    서귀진지(西歸鎭址) 연혁(沿革)

     

    1439년(세종 21): 제주목사 한승순(韓承舜)이 홍로천 위에 방어소를 설치

    1589년~1592년(선조 22~25): 제주목사 이옥(李沃)이 현재 위치로 이설

    1901년(광무 5): 서귀진성 폐지

    1907년: 서귀진 관아건물을 개조하여 의명학교(義明學校)로 사용

    1909년: 서귀진 객사 건물을 정의공립보통학교로 사용

    1917년: 서귀공립심상소학교로 사용

    1946년: 제주감찰서 서귀포지서로 사용

    1948년: 4.3사건이 발생하자 성곽을 헐러 마을방어 축성용으로 사용

    1952년: 남제주군 교육구청으로 사용

    2000. 11. 1: 제주도지정문화재 기념물로 지정(제55호)

    2002년~2009년: 사유지 매입 및 건물 철거

    2009년~2012년: 발굴조사 실시 및 타당성조사 및 학술세미나 실시

    2013년~2014년: 사적화 정비사업 실시

     

     

     

     

    3403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