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의사의 묘(三義士의 墓) -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16. 12. 23. 05:02
삼의사의 묘(三義士의 墓) -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삼의사(三義士)의 묘(墓)
이곳은 조국 광복을 위해 몸 바친 이봉창(李奉昌), 윤봉길(尹奉吉), 백정기(白貞基) 의사를 모신 묘역(墓域)이다.
1946년 김구(金九) 선생의 주선으로 본환(奉還)하고 안장(安葬)하였다.
삼의사 묘 왼편에는 1910년 3월 26일 중국 뤼순(旅順) 감옥에서 순국한
안중근(安重根, 1879~1910) 의사의 유해를 찾으면 안장하려고 마련한 빈 무덤(가묘)이 있다.
이봉창(李奉昌,1901-1932) 의사는 서울 출신으로 용산 문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31년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에 가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 선생과 함께일본 국왕 폭살계획을 세워 1932년 1월 8일 동경 사쿠라다문(櫻田門)에서
관병식을 마치고 돌아오는 히로히토(裕仁)에게 폭탄을 던져 불행히도 명중시키지 못했으나,
일본으로 하여금 조선인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하였다.
거사현장에서 체포되어 그 해 10월 10일 이치가야(市ヶ谷) 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윤봉길(尹奉吉,1908-1932) 의사는 충남 예산 출신으로 3.1운동이 일어나자
덕산보통학교를 자퇴하고 농촌 계몽운동에 전력하였다.
1930년 망명길에 올라 만주를 거쳐 상하이에 도착,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 선생을 만나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독립운동 대열에 나서게 되었다.
1932년 4월 29일 훙커우(虹口) 공원에서 열린 천장절(天長節) 겸 상하이사변 전승 축하 기념식에 참가한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대장 이하 일본 요인들을 폭살, 중상시키고
거사현장에서 체포되어 일본 가나자와(金澤) 형무소에서 12월 19일 순국하였다.
백정기(白貞基,1896-1934) 의사는 전북 정읍 출신으로 3.1운동 후 상하이로 건너가무정부주의자연맹(無政府主義者聯盟)에 가입하여 노동자운동과 일본상품 배격운동을 지도하였고
일본 시설물 파괴공작과 요인사살, 친일파 숙청 등을 목표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1933년 상하이 홍커우 육삼정(六三亭) 연회에 참가한 일본 주중공사 아리요시(有吉明)를 습격하려다 잡혀일본 나가사키(長崎) 법원에서 무기형을 선고 받아 복역 중 6월 5일 지병으로 순국하였다.
'국내 나들이 > 능, 원, 묘(陵 園 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용신선생 묘(崔容信先生 墓) - 안산시 향토유적 제18호 (0) 2017.02.10 덕혜옹주 묘(德惠翁主 墓) (0) 2016.12.30 백범기념관(白凡記念館)과 백범 김구선생의 묘(白凡 金九 先生의 墓) (0) 2016.12.22 영원(英園) - 의민황태자와 의민황태자비의 원(園) (0) 2016.12.15 유릉(裕陵) - 조선 제27대 순종과 원후 순명황후, 계후 순정황후의 능 (0) 2016.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