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백범기념관(白凡記念館)과 백범 김구선생의 묘(白凡 金九 先生의 墓)
    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16. 12. 22. 05:23

    백범기념관(白凡記念館)과 백범 김구선생의 묘(白凡 金九 先生의 墓)










    대한민국 임시정부주석 백범김구지묘(大韓民國 臨時政府主席白凡金九之墓)







    김구 무궁화

    김구의 시선으로 꽃 한 송이를 본다.



    백범 김구선생의 묘(白凡 金九 先生의 墓)

     

    이곳은 조국 독립을 위해 일생을 바친 대한민국임시장부(大韓民國臨時政府) 주석(主席) 백범 김구 선생(1876~1949)의 묘역(墓域)이다.

    선생은 1876년에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일찍이 한학을 배웠고,  조선왕조의 부패에 항거하여 동학(東學)에 참가하였다.

     을미사변(乙未事變)이 일어나자 국모(國母)의 원수를 갚기 위해  일본군 장교 스치다를 교훈적으로 처단(處斷)하여 

    이 나라에 충절(忠節)이 있음을 온 세상에 널리 알렸으며, 이로 인해 인천(仁川) 감옥에 투옥되었다.

     

    을사조약(乙巳條約)이 늑약(勒約) 되자 그 철폐를 위해 투쟁하였고,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여 국권 수호에 앞장섰으며,

     민중을 계몽하기 위해 교육, 강연 등의 애국계몽운동에 투신하였으나, 일제는 안악사건(安岳事件)을 꾸며 다시 투옥,

     서대문감옥과 인천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다.

     

    19193.1운동이 일어나자 상하이(上海)로 망명,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대 경무국장(警務局長)과 내무총장(內務總長),

    국무령(國務領) 등 주요 요직을 거쳐 주석에 이르렀으며,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을 조직, 이봉창(李奉昌), 윤봉길(尹奉吉) 의사의 의거를 통해 임정의 위상을 크게 높였으나,

     임시정부가 상하이에서 충칭(重慶)으로 옮기면서 27년간 조선광복을 위한

    중추적인 역활을 감당할 수 있었던 것은  김구 선생에 힘입은 바 크다.

     

    한편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 조직하고 좌우합작(左右合作) 운동에 노력하였으며,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을 창설하여 조국광복을 위한 무장투쟁(武裝鬪爭)에도 혼신의 힘을 기울였다.

     

    1945년 해방을 맞아 환국(還國)하여 신탁통치(信託統治) 반대운동을 주도하면서

     조국의 완전한 자주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 등 강대국의 한국 분할 정책에 맞섰다.

     

    남과 북이 각각 단독정부의 수립을 위하여 1948년 총선거를 실시하려고 하자,

     이것이 곧 민족분열과 동족상잔(同族相殘)을 가져 올 것임을 예견하고 ,

    이를 막아 자주적인 통일국가(統一國家)를 세우고자 남북현상(南北協商)에 앞장섰다.

     

    남북에서 분단정부가 수립된 후에도 민족통일, 자주독립 운동을 전개하던 중,

     1949626일 경교장(京橋莊)에서 흉한(兇漢)에 의해 쓰러지니,

    75일 온 민족의 존경과 애도를 담아 국민장(國民葬)으로 이곳에 봉안(奉安) 하였다.

     

    1924년 중국에서 먼저 돌아가신 부인 최준례 여사(崔遵禮 女史)1999412일 합장(合葬)하였다.

     









    백범기념관(白凡記念館) -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백범 김구 선생(白凡 金九 先生, 1876~1949)은 그 생애를 오직 조국과 민족의 독립과 통일에 바치신

    우리 겨레의 영원한 스승이시고 위대한 민족의 지도자이시다.

    백범기념관(白凡記念館)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높은 문화를 가진 자주, 민주, 통일 조국을 건설하기 위하여

    일생을 분투하신 겨레의 큰 스승 백범 김구 선생의 삶과 사상을 널리 알리고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2000년 6월 기공하여 2002년 10월 22일 개관하였다.  

    근.현대사 전문 역사박물관인 백범기념관은 격동의 한국 근.현대사와 함께 한 백범 김구 선생의 삶과 사상을 통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와 한국 근.현대사를 이해하고 조국의 자주, 평화, 통일을 지향하며

    민족의 아름다운 문화를 발전시켜 나아가는 온 겨레의 문화적 삶의 공간이다.  

    백범기념관은 전시관 1층과, 2층에 백범 김구 선생의 일대기와 한국 근.현대사 관련 각종 기록 및 자료를 전시하고 있으며
    전문 자료실과 각종 교육 프로그램 및 문화행사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교육장과 대회의실

    그리고 컨벤션홀 등 다양한 교육문화 공간을 갖추고 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