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 봉녕사 석조삼존불(水原 奉寧寺 石造三尊佛), 용화각(龍華閣)수원사랑/문화재(文化財) 2017. 11. 9. 19:25
수원 봉녕사 석조삼존불(水原 奉寧寺 石造三尊佛), 용화각(龍華閣)
용화각 편액 단암 혜운(旦庵 慧耘) 글씨
용화각 주련(龍華閣 柱聯)
六時說法無休息(육시설법무휴식) 육시로 설법하여 휴식이 없으시고
三會度人非等閒(삼회도인비등한) 용화삼회 대법회로 중생구제 등한 없네.
切念勞生沈五濁(절념로생침오탁) 오탁에 빠진 중생 간절히 생각하사
今宵略暫到人間(금소약잠도인간) 오늘 잠깐 제도하려 인간계에 오셨다네.
수원 봉녕사 석조삼존불(水原 奉寧寺 石造三尊佛)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이 석조삼존불은 대웅보전 뒷편 언덕에서 건물을 지으려고 터를 닦던 도중에 출토되었다고 한다.
삼존불상은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입상을 배치하고 있다.
본존불의 얼굴모습은 원만한 편이나 머리 부분이 파손되어 있고 눈, 코, 입이 마모되어 희미하다.
법의는 왼쪽 어깨에만 걸치고 오른쪽 어깨가 노출된 우견편단으로 오른손은 무릎에 놓고 왼손은 가슴에 대고 있다.
좌ㆍ우 협시보살의 얼굴 형태는 원만한 편이나 각 부분은 마멸이 심하다.
법의는 두 어깨를 모두 가린 통견이며 왼손은 가슴에 대고 오른손은 무릎 밑으로 내리고 있으며
원추형의 대좌에는 연화문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각 부분의 형식과 표현 수법으로 보아 이 삼존석불은 고려시대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수원사랑 > 문화재(文化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보산 용화사 미륵불(七寶山 龍華寺 彌勒佛) (0) 2018.07.30 정조대왕의 제사를 지내던 전각, 화령전(華寧殿) - 사적 제115호 (0) 2017.11.15 수원 구 부국원(水原 舊 富國園) - 등록문화재 제698호 (0) 2017.11.01 수원 구 소화초등학교(水原 舊 小花初等學校) - 등록문화재 제697호 (0) 2017.10.31 경기 남부 유교의 본산, 수원향교(水原鄕校) (0) 2017.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