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민주선거 70주년 및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념 선거전시관 개관
    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18. 6. 7. 04:30

    민주선거 70주년 및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념 선거전시관 개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선거연수원 별관동에서

    민주선거 1948-우리동네 2018’을 주제로 하는 선거역사 전시관을 2018523일 개관했다.

    민주선거 70주년과 613 전국동시지방선거를 기념하기 위해서다.

    지난 1948510일 제헌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민주선거 역사는 올해로 70년을 맞이했다.

    그동안의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 등을 비롯해 국민투표 등 현대사의 변곡점이 됐던 주요 선거와 사건은 물론,

    선관위의 역사도 한자리에서 돌아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전시관은 민주선거 70년사, 선거관리위원회사, 선거체험존 등으로 구성됐다.

    전시된 작품은 제헌국회의원선거부터 현재까지의 벽보공보기록영상사진각종 투표 용구 등 300여점이다.

    민주선거 70년사 전시관은 주요 역사적 사건을 기점으로 3부로 구성돼 있다.

    1민주선거, 시작하다1948년  510 제헌국회의원선거부터 1960419 혁명과 제2공화국까지를 다룬다.

    2험난한 선거의 길에서는 516 군사정변 이후 제5공화국까지 권위주의 정부 시절 험난했던 선거의 역사와

    국민의 민주주의를 향한 갈망이 선거로 표출되던 역사를 보여준다.

    3민주선거, 피어나다1987년 민주화 이후의 선거 역사를 담고 있다.

    이밖에 선거체험존에는 역대 선거와 관련된 노래와 영상을 감상할 수 있고, 책도 읽을 수 있는 선거감상실이 마련돼 있다.

    또 선거 유세를 하는 차량에 올라 선거운동도 경험해 볼 수 있다.

    사전투표체험관과 투표지분류기를 이용하여 직접 모의 개표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도 준비돼 있다.

    관람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다만 지방선거 기간인 2018531일부터 613일까지는 상시 관람할 수 있다.

    단체 이용 시 전시관 해설은 선거기록보존소(02-503-0863),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수강은 선거연수원 시민교육부(031-296-9831~3)로 신청하면 된다.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26 (서둔동) 선거연수원 별관동 1층

     






    선거연수원 본관동







    선거연수원 별관동




    아름다운 선거, 행복한 대한민국을 위하여






    선거는 국민이 어떤 정치를 원하고, 어떤 대표자를 선택할지 표현하는 민주주의의 기장 기본이 되는 제도이다.

    정당과 후보자는 국민의 선택을 받기 위해 다양한 가치와 의사를 모아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정책과 비전을 제시하고,

    국민들은 선거를 통해 미래에 대한 희망을 선택한다.

    1948년 대한민국 선거가 시작된 이후 70년의 세월동안 선거는 좋은 정치를 찾아가는 여정의 길잡이였으며 민주주의의 꽃이 되었다.

    국민 누구나 선거에서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하고 참여하며, 후보자는 인물과 정책으로 정정당당히 경쟁하고

    유권자의 의사가 정확히 반영되어 모두가 결과에 승복하는 선거를 만들어 가고 있다.

    자유, 공정, 화합이라는 참된 가치를 오롯이 담겨 아름다운 선거로 만개하고 있다.

    처음 시작하던 그때부터 지금까지 선거에는 변하지 않는 사실이 있다.

    우리들의 참여를 통해 희망의 미래를 만들어 가는 일, 나와 내 가족을 행복하게 만드는 최선의 선택을 하는 일,

    그것이 바로 선거이며 행복한 대한민국을 향한 힘찬 도약의 시작이다.








    대나무 기표용구와 탄피 기표용구(1952년~1980년대초)





    5.10 총선거 포스터

    '총선거로 독립문은 열린다'라는 문구와 함께 당시 군정청 건물로 사람들이 투표하러 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목재 투표함(1948년~1960년대)




    자유당 당보







    사사오입(四捨五入) 개헌자료, 1954


    조국(祖國)과 민족(民族)이 갈망(渴望)하는 개헌요지(改憲要旨)는 이렇다!!

    1. 대통령(大統領) 부통령(副統領)의 임기는 4년으로 하되, 재선(再選)에 의하여 1차 중임(重任)할 수 있다.

    (), 초대 대통령(初代 大統領)은 차한(此限)에 부재(不在)한다.

    2. 헌법개정(憲法改正) 및 국가구성요소(國家構成要素)의 변혁(變革)

    유권국민삼부지이(有權國民 三分之二) 이상(以上)의 결의(決議)없이는 할 수 없다.

    3. 선거민(選擧民)에게 양원의원(兩院議員)에 대()한 소환권(召喚權)을 부여(附與)한다.

    4. 정부(政府)에게 민의원(民議員)에 대()한 해산권(解散權)을 부여(附與)한다.

    5. 헌법제6장경제조항(憲法第六章經濟條項)을 개정(改正)할 것 등()을 주장(主張)한다.


    개헌추진위원회에서 발행한 개헌자료.

    3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자유당은 재적의원 2/3를 확보하자 개헌을 추진했다.

    이른바 사사오입이라는 방식을 적용하여 이승만 대통령의 영구집권이 가능한 개헌안이 통과됐다.















    3.15 부정선거와 4.19혁명


    1956년 부통령선거에서 민주당 장면 후보에게 패했던 경험과 1958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야권의 약진은 이승만 정권에 위기감을 주었다.

    1960년 정.부통령선거에서 자유당은 이승만의 당선은 물론, 그의 유고시 권력을 승계할 부통령 후보 이기붕도 반드시 당선시키고자 했다.

    이승만과 경쟁하던 유일한 야권 후보 조병옥의 갑작스런 서거로 이승만은 손쉽게 당선되었지만,

    이기붕의 부통령 당선을 위해 자유당은 관권을 동원한 부정선거를 저질렀다.

    3인조, 9인조 등 집단투표와 대리투표가 벌어졌다.

    투.개표장에서 민주당 참관인이 쫓겨났고, 투표함은 바꿔치기 당했다.

    3월 15일 마산 등지에서 시작된 부정선거 항릐 시위는 전구구적으로 확산되었고, 마침내 1960년 4.19혁명으로 부정선거를 단죄했다.

    4.19혁명을 통해 국민들은 왜곡된 민주주의를 국민의 힘으로 회복하는 전례를 만들었다.




    진달래 - 다시 4.19날에, 이영도

    눈이 부시네 저기

    난만(爛漫)히 멧등마다

    그 날 스러져 간

    젊음 같은 꽃사태가

    맺혔던 한()이 터지듯

    여울여울 붉었네.

     

    그렇듯 너희는 지고

    욕처럼 남은 목숨

    지친 가슴 위엔

    하늘이 무거운데

    연련(戀戀)히 꿈도 설워라

    물이 드는 이 산하(山河).

     


    이영도(李永道, 1916~1976)

    경북 청도 출생, 호는 정운(丁芸). 시조시인으로 유명한 이호우(李鎬雨) 시인의 여동생이다.

    부산남성여고 교사를 역임하였고, 남편이 결핵으로 돌아가시어 젊은 나이에 사별하였다.

    시인은 자연과 생명을 사랑한 박애주의자로 서러움과 그리움의 감성이 잘 드러난 시를 지었고,

    대표작으로 황혼에 서서, 청저집, 죽순, 석류, 언약, 춘근집, 제야, 너는 저만치 가고 등이 있다.

     

    위 시(진달래 - 다시 4.19날에)는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한 사람들에 대해 느끼는 남아 있는 사람들의 슬픈 현실에 대한

    미안함과 자괴감을 진달래에 비유하여 서정적으로 표현한 느낌이 아름답게 다가온다.



















































    1987년 구로구을 우편투표함 사건


    선거일인 12월 16일 서울 구로구을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우편투표함을 조기 이송하는 과정에서

    부정투표함으로 오인한 시민들에게 우편투표함을 빼앗겨 개표하지 못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30년간 개함하지 못하고 부정투표함이라고 주장되었던 구로구을 우편투표함은

    지난 2016년 (사)한국정치학회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이 검증한 결과

    조작되거나 위조되지 않은 정규의 우편투표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