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원역사박물관(水原歷史博物館)
    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0. 1. 7. 04:30

    수원역사박물관(水原歷史博物館)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5 (이의동) 수원박물관






    독무덤(甕棺墓, 옹관묘)


    수원시 화서동 꽃뫼유적지에서 발견된 독무덤으로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독무덤은 대체로 영산강 유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어 중부지방에서는 보기드문 경우로 볼 수 있다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수원의 효자 최루백(崔婁伯 : ?~1205)의 일화를 비롯한 오륜에 출중한 사람들의 행적을 설명한 책 (1797)




    수원백씨 족보(水原白氏 族譜)


    문경공 백인걸(白仁傑, 1497~1579)이 중심이 되는 수원백씨 문경공파의 족보 (1676)




    수성최씨 세보(隋城崔氏 世譜)


    최영규(崔永奎)를 시조로 삼는 수성최씨의 세보. 수성은 통일신라 때의 수원 이름이다. (1856)




    사서오경(四書五經)


    유학 입문 기본서인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의 4서와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의 5경을 말한다.

    이는 고대 중국의 자연현상 및 사회생활의 기록이며, 제왕의 정치, 고대의 가요, 가정생활, 공자가 태어난 노()나라 역사 등의 기록이다.

     



    갑득호일서급(甲得弧日書給)


    생일을 맞은 아들 갑득에게 아버지가 배우고 익혀 입신양명(立身揚名)을 이루라는 뜻에서

    성현의 글을 정서하여 준 필사본이다. (조선 후기)




    암행어사 관(暗行御史 關)


    상급관청에서 하급관청으로, 또는 동등한 관청 상호간에 보내는 관문서(官文書).

    이 관()은 공충도(公忠道) 암행어사가 총리사(摠理使)에게 보낸 것이다.

    수원부 장주면 영통리에 사는 오성묵을 천안 김제역으로 속히 내려 보낼 일로 문서를 보냈다.

    말 두 마리를 역에서 지급받을 수 있는 2마패를 관인을 대신하여 답인하였다.

    긴급하고 보안을 유지해야 하는 일에 발급하는 비관(秘關)인 만큼

    봉투에 총리사가 직접 봉투를 열어 내용을 확인하도록 주문하고 문서를 보낸 시간도 써 두었다. (조선 후기)




    김찬 고신(金瓚 告身)


    김찬(1542~1599)을 사헌부 지평(持平)에 임명한다는 내용의 교지.

    김찬의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는 숙진(叔珍)이며, 호는 눌암(訥菴)이다.

    1567년에 진사가 되고, 1568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사후 수원시 이의동 광교산 자락에 묘역을 마련하였고, 후손들이 그 일대에서 대대로 세거하였다.




    진어집설(進御輯說)


    이석조(李奭祚)가 정조 임금에게 올린 학문과 정치개혁의 방안을 담은 집설과 정조의 비담을 묶은 책.

    이석조는 수원의 대표적 성씨인 여주이씨(驪州李氏)1792(정조 16) 수원에서 실시된 과거에서 80세의 나이로 급제하였다.

    이후 1794년 정시 문과 급제한 뒤 공조참판을 거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시호는 경헌(景憲)이다. (1795)




    오의상 고풍(吳毅常 古風)


    1787(정조 11)에 별군직(別軍職) 오의상이 받은 고풍이다.

    고풍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선물을 청해 받은 후 기쁜 마음을 표현하는 것을 고풍이라 한다.

    정조 어사(御射)의 관련된 자료를 보면, 정조가 활쏘기에서 성적이 잘 나오면

    그 자리에 있던 신하들이 축하의 뜻으로 고풍을 청하여 받은 기록이 보인다.




    정조 어제어필 연희당 축수시(正祖 御製御筆 延禧堂 祝壽詩)


    정조는 화성행궁에서 이미 혜경궁 홍씨의 진찬을 마쳤으나 1795(정조 19) 618일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이하여

    창경궁 연희당에서 60회 탄신을 축하하는 자리를 다시 마련하였다

     정조는 창경궁 명정전에 가서 몸소 치사(致詞)와 전문(箋文)과 표리(表裏)를 드린 후

    연희당으로 돌아와 술잔을 올려 헌수(獻壽)하며 이 축수시를 짓고 썼다.

    "홍재전서(弘齋全書)" 6에 관련 내용이 실려 있다.

    이 시에 갱진한 외빈은 128, 재신은 178명으로 혜경궁 홍씨의 탄신을 축하하고 만수무강을 비는 내용의 시를 올렸다.

    자궁(慈宮)60회 탄신(誕辰)에 축수의 잔을 올리고

    삼가 기쁨을 기록하는 정성을 서술하여 이 자리에 참여한 여러 빈객들에게 보이다

     

    吾東初有慶(오동초유경)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경사 있어

    花甲萬年觴(화갑만년상) 어머니 회갑일에 만년토록 오래 사시라는 축수의 잔 올린다.

    是日虹流屆(시일홍류계) 이날 어머니께서 태어나시어

    如雲燕賀張(여운연하장) 축하하는 모임에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 들었다.

    含飴長樂殿(함이장락전) 거처지인 장락전에서 손자들과 어울려 재미있게 노니

    被管老萊章(피관노래장) 춘추시대 효자인 노래자(老萊子)를 주제로 만든 노래가 울려 퍼진다.

    觀華仍餘祝(관화잉여축) 장수, 부귀, 많은 아들을 노래한 화봉삼축(華封三祝)의 축복 속에

    覃恩曁八方(담은기팔방) 깊은 은혜가 온 나라에 퍼진다.




    경보첩(敬寶帖)


    수원의 대표 성씨인 나주나씨(羅州羅氏) 선현의 편지, 서화 등을 모아 만든 첩이다.

    성재공필적, 나홍석과 나경석의 편지글, 한말 서예가로 활동하였던 소봉(小蓬) 나수연(羅壽淵) 의 축수시와 묵란 등이 있다.




    반정균 그림부채(潘庭筠 畵 扇面)


    영조42(1766) 김선행이 동지사 일행의 부사(副使)로 연행길에 올랐을 때

    청나라의 젊은 선비인 반정균에게 선물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 부채이며 먹의 농담을 적절히 운용하여

    고매(古梅)를 그린 뒤 직접 지은 시를 행서로 제서하였고 말미에 김선행의 요청으로 그림을 그렸다고 쓴 뒤

    "정균지인(庭筠之印)"을 낙관하였다.

    김선행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술부(述夫)인데 영조15(1739)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대사헌, 한성부좌윤에 이르렀으며 수원부사(水原府使)를 지냈던 인물이다.

    1756(영조 32) 수원부사 재직 시에는 경내의 흉년으로 농민들이 양곡이 떨어져 폐농지경이므로

    창고에 남아 있는 향미(餉米)를 나누어 주도록 상소하였다.

       




    박태유 필적 '백석 유묵첩'' - 보물 제1675호


    17세기 후반의 문신이며 명필이었던 백석(白石) 박태유(朴泰維, 1648~1746)의 글씨첩 




    김정희 글씨(조선 후기)


    추사 김정희(金正喜)의 예서체 글씨




    정조 글씨 (조선 후기)


    정조대왕(1752~1800)이 어린 시절에 쓴 글씨



    화홍문이 도안된 일원권 지폐(壹圓卷 紙幣)


    1909년(융희 3년) 7월에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1원권 지폐로 도안에 수원팔경의 하나인 화홍문이 그려져 있다.

    (7.3cm × 13.2cm, 수원박물관 소장)



    직조기(織造機)


    용수흥농주식회사에서 사용했던 직조기로 용수흥농주식회사 사장 오성선은 농가 경제의 향상을 위해

    부녀자의 노동력을 활용한 방직에 주목하였는데 당시에는 상품화를 위한 방직이 생소했기 때문에

    오성선은 직접 농촌의 부녀자들을 설득하여 기술을 습득하게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지역의 유지에게 출자를 권유하여 1926년에 용수기업조합을 설립하였다.




    자귀, 조개날돌도끼





    화성16경(華城十六景)




    경기남부를 이끌었던 수원의 포목상들(1914년 이전)




    수원, 수원사람들은


    수원부는 삼남대로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매번 일이 있으면 8도에 전달되지 않는 일이 없었다. - 우하영 관수만록’ -

    농사에 열심이며 활쏘기에 힘쓴다. - 유형원 동국여지지 -

    무예를 좋아하고 인심은 질박하다. 글이 짧고 밭농사를 주로 한다. - 여지도서 -

    수원은 본디 무향(武鄕)이다. - 효종 효종실록효종 42월 경신 -

    영리하고도 이해 잘 따지기로 유명한 수원인 - ‘개벽신간 제419353-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