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장사 원통전(七長寺 圓通殿)국내 나들이/사찰(寺刹), 불교(佛敎) 2021. 7. 12. 20:22
칠장사 원통전(七長寺 圓通殿)
원통전은 관음보살을 모신 전각으로 관음보살을 흔히 원통대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관음보살을 모신 전각을 원통전이라고 한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익공계 맞배지붕 건물로
2중 기단의 기둥은 민흘림 방식이며.
창호는 전면 어칸에 4분합문, 양협칸에는 2분합문을 달았는데
양측면과 후면에는 창호가 없다.
조선 영조 원년(1725년) 선진ㆍ두한 두 스님이 건물을 짓고,
이듬해 윤영ㆍ처휘 스님이 관음보살상을 조성하여 모셨다고 한다.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리) 칠장사
칠장사 원통전 주련(柱聯)
寶陀山上琉璃界(보타산상유리계) 보타산 위 맑은 세계 유리계에 계시는
正法明王觀世音(정법명왕관세음) 정법명왕 여래이신 관세음 보살님.
影入三途利有情(영입삼도이유정) 그림자는 삼도에 가 모든 유정 보살피고
形分六道曾無息(형분육도증무식) 모습은 육도 나눔은 일찍이 쉼없다네.
칠장사 원통전 앞에는 폐탑재로 쌓은 탑이 있다.
원통전 앞에는 뒤틀리고 배배 꼬인 향나무가 세월의 무상함을 말해주고 있다.
칠장사 원통전 관음보살(觀音菩薩)
관음보살은 부처의 자비심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보살로 보타낙가산에 머물며
세간의 소리를 다 살펴보신다 하여 관세음보살로 불리기도 하고
이 세상 모든 것을 자재롭게 바라보고 보살핀다는 뜻으로 관자재보살 등으로 불린다.
일반적으로는 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 모셔지는 경우가 많으며
칠장사의 경우처럼 단독으로 모셔지기도 한다.
관음보살이 주존이 될 경우에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협시를 하기도 한다.
칠장사의 경우는 관음보살의 협시보살이 문수보살과 보현보살로 보이지는 않는다.
'국내 나들이 > 사찰(寺刹), 불교(佛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문화의 보물창고, 칠현산 칠장사(七賢山 七長寺) (0) 2021.07.15 대방광불화엄경 제69권 변상(大方廣佛華嚴經 第六十九券 變相) (0) 2021.07.14 칠장사 소조사천왕상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5호 (0) 2021.07.11 칠장사 명부전의 벽화 – 궁예와 임꺽정 (0) 2021.07.10 칠장사 나한전과 어사 박문수(御史 朴文秀) 합격다리 (0) 2021.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