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한양도성(인왕산 구간) 독립문역(3번출구) - 선바위 - 모자바위 - 부처바위 - 인왕산 곡성 - 범바위 - 매바위 - 기차바위 - 치마바위 - 청운공원 - 서시정 - 윤동주문학관 - 창의문(북소문) 인왕산(仁王山) 조선 개국 초기에 서산(西山)이라고 하다가 세종 때부터 인왕산이라 불렀다. 인왕..
사량도(蛇梁島)의 명물, 출렁다리 사량도(蛇梁島)의 명물 출렁다리 사량도 지리산(池理山, 해발 398m) 정상 부근인 향봉과 연지봉 2개 구간에 설치된 출렁다리. 총연장이 61.2m(1구간 39m,2구간 22.2m)인 보도 현수교(일명 출렁다리)로 2013년 3월에 개통됐다. 경상남도 통영시 사량면
한려해상국립공원 사량도 지리산(蛇梁島 池理山) 한려해상국립공원 사량도 지리산(蛇梁島 池理山) 경남 통영시에 속하는 사량도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약 1.5㎞의 거리를 두고 윗섬(上島)과 아랫섬(下島), 수우도(樹牛島)의 세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량도의..
화성축성시 처음 고유제를 지냈던 곳, 숙지산(熟知山) 정조대왕(正祖大王)이 전교를 내리시어 면(面) 이름을 "공석(空石)"이라 하고 산의 칭호를 "숙지(熟知)"라 했으니, 이른바 옛부터 돌이 없는 땅이라 일컬어졌는데, 오늘날 갑자기 셀 수 없이 단단한 돌을 내어 성 쌓는 용도로 됨으로써 "..
설악산 권금성(雪嶽山 權金城) 설악산 권금성(雪嶽山 權金城) 권금성(權金城)은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雪嶽洞)의 산석(山石) 위에 있는 옛 성으로, 고려 때 축성된 산성으로서 설악산성(雪嶽山城), 옹금산성(擁金山城), 토토성(土土城)으로 불리기도 한다. 설악산의 주봉인 대청봉에서 북쪽..
불곡산(성남누비길) 경기도 성남시와 용인시의 경계에 위치한 성남누비길 제4구간
숙지산(熟知山)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도심 가운데 위치하고 있는 숙지산(熟知山)은 해발 123m의 야트막한 산으로 많은 사람들이 하이킹 및 산책을 위해 즐겨 찾는 도심속의 휴식처이다. 숙지산(熟知山)은 조선 정조 때에는 행정구역이 공석면(空石面)이었는데, 숙지(熟知)의 뜻은 “신령이..
해남의 하늘 길, 두륜산 케이블카바다와 하늘이 만나 시작되는 ‘땅끝’은 백두대간이 남으로 남으로 내달려와마지막 용트림하며 멈춘 곳으로 한반도의 기가 가장 많이 뭉친곳으로 백두대간의 시작이요 끝이다.그래서 땅끝은 가장 좋은 혈이 뭉친 곳이며. 그 기로 하늘 문을 여는 곳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