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탑(熊津塔) 웅진탑(熊津塔) 차령산맥(車嶺山脈)의 기슭을 씻고 흐르는 금강(錦江)은 동북(東北)에서 서남(西南)으로 휘어 돌고 공산(公山), 월출(月出), 일락(日落), 봉황(鳳凰), 정지(艇止)의 뫼들이 동사남북(東西南北)으로 옹기종기 솟아있는 땅, 이곳이 백제(百濟)의 옛 도읍지 공주(..
한국의 멋과 맛이 살아있는 전통가옥, 공주한옥마을(公州韓屋村) 2010년 개장한 공주한옥마을은 한국 전통난방으로 구들장 체험이 가능한 시설로 설계되었고, 친환경 건축양식인 소나무 · 삼나무 집성재 사용, 도시 · 현대인들이 머무는데 편리 하도록 설계된 신 한옥으로, 가족여행, ..
공주 갑사 승탑(公州 甲寺 僧塔) - 보물 제257호 승탑이란 승려들의 유골을 안장한 묘탑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 초에 처음 나타난다. 팔각형의 지붕을 가진 팔각원당형으로 되어 있는 이 승탑은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양식일 뿐만 아니라 조각 솜씨도 뛰어나 신라 말기..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송산리 고분군 (世界遺産 百濟歷史遺蹟地區 宋山里 古墳群) 웅진시대의 시작과 송산리 고분군(宋山里 古墳群) 백제의 22대 문주왕은, 475년에 고구려 장수왕의 침공으로 한성(서울)이 함락되자 웅진(공주)으로의 천도를 단행한다. 이후 26대왕인 성왕이, 538년에..
공주 갑사 동종(公州 甲寺 銅鐘) - 보물 제478호 높이(H) 131cm, 입지름(R) 91cm 갑사 동종은 조선 초기의 종으로 국왕의 만수무강을 축원하며, 갑사에 매달 목적으로 선조 17년(1584)에 만들어졌다. 종의 꼭대기 용뉴부(龍鈕部)에는 두 마리의 용이 용두를 힘차게 뻗치면서 입을 크게 벌리고 있다...
공주 장선리 토실유적(公州 長善里 土室遺蹟) - 사적 제433호 공주 장선리 유적은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상.하행선 휴게소 부지를 조성하는 중에 확인된 유적이다. 하행선 휴게소부지 가운데 발굴조사가 실시된 약 17,000㎡의 면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생활유적과 분묘유적, 마한의 생활유적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