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南漢山城) 무망루(無忘樓) 조선 영조 27년(1751년) 광주유수(廣州留守) 이기진(李箕鎭)이 증축한 수어장대(守禦將臺) 2층의 내편(內便) 문루로서 그 편액(扁額)이 2층 누각에 있어 1989년 전각을 건립하고 이 안에 현판(懸板)을 새로 설치하여 일반인이 볼 수 있게 하였다. 무망루는 병..
이승만대통령각하행차 기념식수(전나무) 남한산성(南漢山城) 수어장대(守禦將臺) 무망루(無忘樓) 옆에 있는 전나무. “리대통령각하 행차 기념식수”라고 적힌 표지석이 있다. 뒷면에는 “단기 四二八六년 九월 六일”이라고 적혀 있다. 즉, 1953년 9월 6일에 이승만(1875~1965) 대통령이 이곳..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남한산성(南漢山城)의 북문(北門) "전승문(戰勝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위치한 남한산성(南漢山城) 성곽 북쪽의 해발 365m 지점에 있으며, 북문(北門)을 나서면 계곡으로 난 길을 따라 상사창리로 이르게 되는데 조선시대에 수운으..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남한산성(南漢山城) 지화문(至和門) 남한산성에는 동.서.남.북에 4개의 대문이 있는데, 남문은 남한산성에 있는 4대문 중 가장 크고 웅장한 중심문으로, 지화문(至和門)이라 하며, 현재에도 출입이 가장 많은 곳이다. 선조때의 기록을 보면 동문, 남문, 수구문..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남한산성 우익문(南漢山城 右翼門) 남한산성의 서문(西門)은 산성의 동북쪽 모서리 부분의 450 m 지점에 위치하며 개구부와 문루로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는 내외면이 반원형의 홍예식이다. 외면 홍예 안쪽에는 2짝의 모재판문을 설치하였다. ..
화려하고 웅장한 "남한산성 수어장대(南漢山城 守禦將臺)" 수어장대(守禦將臺)는 남한산성의 서쪽 주봉인 청량산 정상부에 위치히고 있다. 이 건물은 남한산성(南漢山城)의 지휘 및 관측을 위한 군사적 목적에서 지어진 누각이다. 성내에 현존하는 건물중 가장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을 자..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