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산 봉은사(修道山 奉恩寺)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 조계사의 말사로 이 절의 기원은 794년(원성왕 10)에 연회국사(緣會國師)가 창건한 견성사(見性寺)이다. 그뒤 1498년(연산군 4)에 정현왕후(貞顯王后)가 성종의 능인 선릉(宣陵)을 위해 이 절을 중창하고 봉은사라고 절 이름을 바..
봉은사 미륵대불 용화정토 원불 봉안 불사 (奉恩寺 彌勒大佛 龍華淨土 願佛 奉安 佛事) 봉은사 미륵대불(奉恩寺 彌勒大佛) 1996년 1월 7일에 봉안된 미륵대불은 봉은사의 새로운 성보로써 높이 23m로 국내 최대의 크기의 부처님이다. 미륵대불은 1986년 영암(靈岩) 큰스님께서 '봉은사가 불자..
봉은사 해수관음상(奉恩寺 海水觀音像) 봉은사에는 한국의 전통적인 관음신앙(觀音信仰)의 표현인 해수관음상이 모셔져 있는데 중생을 고통에서 구원해주는 자비의 화신이다. 한 손에 감로수 병을 들고 보관에는 아미타불이 새겨져 있다. 연못 위에 둥근 섬을 만들고 그 위에 해수관음상을 조각해 놓았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 (삼성동) 대한불교조계종 봉은사
흥선대원위영세불망비(興宣大院位永世不忘碑) 봉은사(奉恩寺)의 단칸짜리 작은 비각 안에 있는 ‘흥선대원위영세불망비’(興宣大院位永世不忘碑)로 앞면의 비액이나 뒷면의 4자씩 8구절로 된 비문은 모두 예서체로 품위 있는 아름다움이 은은하다. 비문은 봉은사의 땅이 남의 농토에 뒤..
봉은사 영산전(奉恩寺 靈山殿) 영산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석가모니불을 주불(主佛)로 모시고 좌우보처인 가섭존자(迦葉尊者)와 아난존자(阿難尊者)가 합장하며 시립해 있고, 그 양 옆으로 16아라한(阿羅漢)이 열좌(列坐)하고 있다. 또한 불상 뒤로 후불탱화와 16나..
봉은사 대웅전(奉恩寺 大雄殿) 대웅전은 1982년 새롭게 중창되었으며, 법당 안에는 2층 닫집을 짓고 중앙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시고 좌우로는 아미타불과 약사여래 부처님 등 삼존불(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보물 제1819호)을 모셨으며, 후불탱화는 삼여래회상도가 ..
봉은사 지장전(奉恩寺 地藏殿) 지장전은 주불로 지장보살(地藏菩薩)을 모시고 죽은 이의 넋을 인도하여 극락왕생(極樂往生)하도록 기원하는 전각이다. 지장보살은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의 원을 이어 고통과 어려움에 처해있는 중생들을 구하고 병든 사람을 위해 약초가 되겠다는 서..
봉은사 영각(奉恩寺 影閣)과 홍매(紅梅) 영각(影閣)이란 고승의 진영(眞影)을 모시고 추모하기 위해 모신 전각으로 이를 조사당(祖師堂)이라고도 한다. 영각에는 개산조로 여겨지는 연회국사(緣會國師), 조선불교의 중흥조 보우대사(普雨大師)와 서산대산(西山大師), 사명대사(四溟大師),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