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흥향교(順興鄕校)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47호 순흥향교는 고려 말 조선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세조 3년(1457) 금성대군(錦城大君)의 단종(端宗) 복위운동으로 인해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와 함께 폐지되었다가 숙종 9년(1683)에 관청이회복되면서 향교도 새롭게 설립되었..
수원향교 분향례(水原鄕校 焚香禮) 음력으로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향을 피우는 분향례(焚香禮)를 봉행하고 있다. 성균관(成均館)과 향교(鄕校)에서 분향례의 다른 점은 향합(香盒, 향이 들어 있는 그릇)을 향교에는 대성전(大成殿)에 모셔 놓고 있으나 성균관에서는 제기를 보관하는 곳..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성균관대학교는 사립 종합대학교로, 1398년 조선이 유교 건국이념에 따라 숭교방(崇敎坊)에 설립한 고려시대 국립최고학부 성균관(成均館)의 전통을 계승한다. 성균관은 일제시대를 거치며 경학원, 명륜전문학교 등으로 격하되었고 1943년..
서울 문묘(文廟)와 성균관(成均館) 성균관의 의미 고려말과 조선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태학(大學)의 명칭. 학궁(學宮) 또는 반궁(泮宮)이라고도 하였다. 『주례 周禮』에 의하면 '성균'은 오제(五帝)의 학(學) 가운데 남쪽에 있었던 것으로 음악(音樂)으로 교육적 성과를 내기 위해 대사악..
성균관 대성전(成均館 大成殿)과 그 주변 대성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가 있는 영역이 문묘, 즉 제사 공간이다. 남쪽의 삼문(三門)은 제례 등의 행사에 사용되었던 정문인데, 오른쪽 문으로 들어가 왼쪽 문으로 나오도록 했으며, 가운데 문은 성현들의 넋이 드..
심산 김창숙선생 동상(心山 金昌淑先生 銅像) - 성균관대학교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11-1-06 건립자 : 심산 김창숙선생 동상건립추진위원회 관리자 :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3가 53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내) 심산(心..
성균관 비천당(成均館 丕闡堂) 클 비(丕), 열 천(闡), 즉 크게 열어 밝힌다는 뜻이다. 성균관 명륜당의 서북쪽 담 밖으로 현종(顯宗) 2년(1661년)에 세워진 성균관의 별당으로 재생들의 학습 장소, 또는 임금이 성균관에 친림하여 과거(科擧)를 시행할 때 시험장소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좌우..
성균관 명륜당(成均館 明倫堂)과 그 주변 명륜당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있는 영역이 성균관의 교육 공간이다. 1398년(태조 7)에 설립되어 왕세자까지 교육한 조선시대의 최고 학부였으며, 때때로 과거 시험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명륜(明倫)’은 인간 사회의 윤리를 밝힌다는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