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향교(寧越鄕校)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향교는 조선시대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에 대한 제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다. 영월향교는 1398년(태조7)에 설립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473년 향교의 기와를 다시 바꾸었으며, 1574년과 1593년, 1604년에 중창하였고,..
노성향교(魯城鄕校) - 충청남도 기념물 제118호 향교는 조선시대 관립 교육기관으로 각 고을마다 세워져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였던 곳이다. 노성향교는 언제 세워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향교의 처음 위치는 현재 노성초등학교 부지였던 것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지금의 ..
순흥향교(順興鄕校)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47호 순흥향교는 고려 말 조선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세조 3년(1457) 금성대군(錦城大君)의 단종(端宗) 복위운동으로 인해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와 함께 폐지되었다가 숙종 9년(1683)에 관청이회복되면서 향교도 새롭게 설립되었..
서울에서는 유일한 조선시대 국립 교육기관, 양천향교(陽川鄕校) 전국에 남아있는 234개 향교 중 서울에서는 유일한 양천향교로 조선 태종12년(1411년)에 세워져 노후된 것을 1981년 전면 복원하여 전통 유교 문화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 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을 비롯하여 명륜당(..
인제향교(麟蹄鄕校)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3호 향교는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와 유학 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다, 인제향교는 조선 초기에 인제읍 서북리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그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에 탔던 것..
경기 남부 유교의 본산, 수원향교(水原鄕校) 경기 남부 유교의 본산, 수원향교(水原鄕校) 향교(鄕校)는 조선시대 지방에 설치한 국립교육기관이다. 수원 향교는 원래 경기도 화성시 봉담면 와우리에 있었다. 그러나 1789년(정조13)에 수원 읍치(邑治)가 지금의 수원시로 이전되면서 팔달산 ..
수원향교(水原鄕校) 향교(鄕校)는 조선시대 지방에 설치한 국립교육기관이다. 수원 향교는 원래 경기도 화성시 봉담면 와우리에 있었다. 그러나 1789년(정조13)에 수원 읍치(邑治)가 지금의 수원시로 이전되면서 팔달산 남쪽 기슭에 자리 잡게 되었으며 여러번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서울 문묘(文廟)와 성균관(成均館) 성균관의 의미 고려말과 조선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태학(大學)의 명칭. 학궁(學宮) 또는 반궁(泮宮)이라고도 하였다. 『주례 周禮』에 의하면 '성균'은 오제(五帝)의 학(學) 가운데 남쪽에 있었던 것으로 음악(音樂)으로 교육적 성과를 내기 위해 대사악..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