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속의 섬(島), 우도(牛島) 해안길 천진항 → 돌칸이해변 → 쇠머리오름 → 우도등대공원 → 우도항로표지관리소 → 검멀레해안 → 영일동포구 → 비양도 → 비양도망대 → 하고수동해안 → 독진곶 → 망루등대 → 답다니탑망대 → 세배코지 → 하우목동항 → 서빈백사해수욕장 → 홍조..
우도 환해장성(牛島 環海長成) 우도 환해장성(牛島 環海長成) 세종5년 1423년 당시 우도(牛島)는 왜적의 침입이 잦았고, 또한 고각(鼓角)소리에 풍우가 일어 농사를 망친다는 설화도 담겨 있다. 중종 5년 1510년 제주목사 장립이 명월목성을 축성했는데, 그 곳이 비양도(주의 서쪽)와 가깝고, ..
영일동 방사탑 등대(迎日洞 防邪塔 燈臺) - 제주 우도 영일동 방사탑 등대(迎日洞 防邪塔 燈臺) 제주 우도면(牛島面) 조일리(朝日里) 영일동포구에 세워진 이 옛 등대는 마을의 허한 방향에 세워져 있던 방사탑을 개조하여 설치한 점이 특이하다. 포구에 있던 원래의 방사탑은 평면 사각형 ..
우도 등대공원과 우도항로표지관리소(우도 등대) 우도(牛島) 먼 옛날 물 부족으로 고민하던 우도 주민들은 섬 남서쪽의 동천진동에 우물을 열심히 팠다. 그러나 기대하던 물은 나오지 않았다. 지관(地官)을 불러 연유를 물었다. 지관 왈, “여자없이 어떻게 자식(물)을 낳는가. 각시를 데려..
구 우도등대(舊 牛島燈臺) - 등대문화재 제7호 설문대할망 설문대할망은 제주를 만든 창조의 여신이며 제주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오백 명의 아들을 낳았듯이 건강과 다산을 상징한다. 구 우도등대(舊 牛島燈臺) - 등대문화재 제7호 이 등탑은 우도 부근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운항을..
우도(牛島)의 봉수대(烽燧臺, 망루) 봉수(烽燧)는 봉(烽, 횃불)과 수(燧, 연기)라는 의미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조선시대의 군사통신시설이다. 군사목적으로 봉수를 사용 한 것은 고려시대부터라고 기록에 전해지며, 제주에서 봉수시설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본격적으로 군사적 통신시설..
우도도항선(牛島渡航船) 우도도항선(牛島渡航船) 제주 성산항(城山港)에서 우도(牛島)간 운행하는 도항선(소요시간 약 15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