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江華) 장화리(長花里) 해넘이마을 수도권에서 가까운 나들이 장소로 인기 있는 강화도(江華島). 낙조로 유명한 "장화리"는 안면도, 변산반도와 더불어 서해안 3대 낙조로 손꼽히는 곳으로, 낙조의 유명세에 얼마 전부터 ‘낙조마을’이라는 이름까지 붙여졌다. 강화 나들길 7코스 중 ..
정족산사고(鼎足山史庫) 임진왜란(壬辰倭亂,1592년) 전에 실록(實錄)을 보관하였던 사고(史庫)는 내사고(內史庫)인 춘추관과 충주·성주·전주 등 3개의 외사고(外史庫)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전주사고(全州史庫)만이 화(禍)를 면하고 모두 소실(燒失)되었다. 그후 임란(壬亂)의 병화(兵..
전등사 윤장대(傳燈寺 輪藏臺) 윤장대(輪藏臺)란 불교경전(佛敎經典)을 넣은 책장에 축을 달아 돌릴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윤장대를 한번 돌리면 경전을 읽은 것과 같은 공덕(功德)이 있다고 한다. 전등사 윤장대는 보물 제684호를 똑같이 재현한 것이다. 윤장대를 세운 이유는 부처님 법이 ..
마니산 참성단(摩尼山 塹城壇)에 오른 견공(犬公) 지난 해에 이어 올 겨울에도 강화도 마니산(摩尼山)을 찾았는데, 그 날 따라 북풍한설이 몰아치며 싸락눈이 내렸다. 그런데 마니산(摩尼山) 정상에 오르니 견공(犬公)이 등산객을 반가이 맞으며, 이리 저리 돌아 나니며 등산객이 주는 음식물을 받아 먹..
몽골 침략에 항전한 호국의 현장...강화산성(江華山城) 강화산성은 고려 고종19년(1232년) 강화도로 천도하며 몽고에 대항하기 위해 흙으로 쌓은 성으로 몽고의 침략에 항전한 호국의 현장인 셈이다. 1259년 고려가 개성을 환도하기 전 성을 헐었는데 조선초에 다시 보수됐다가 1637년 병자호란 때 청군의 ..
왕골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고인돌 "강화 지석묘(江華 支石墓) 인천 강화군 하점면(河岾面) 부근리(富近里)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유적 강화 지석묘(江華 支石墓)는 덮개돌을 두개의 받침돌이 고이고 있는 탁자식 고인돌이다. 경기 지방을 비롯한 중부 지방에서는 보기 드문 거대한 탁자식 ..
강화 평화전망대 망배단(望拜壇)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민통선 북방지역에 황해북도 개풍군과 연풍 지역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강화 평화전망대에 실향민을 위한 망배단(望拜壇)이 자리하고 있다. 불과 1.8㎞ 떨어진 북한땅을 고향을 북녘에 둔 실향민들은 망배단을 찾아 그나마 이곳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